본문
사중간 범례(四重刊凡例 添入 九條) |
병술보丙戌譜 간행 시의 범례가 잘 되어있는 관계로 이어 간행한다는 의미로 볼 때 일일이 수정할 것은 없으나 부득이 첨가하여야 할 것은 아래와 같이 하여 고람考覽을 편리케 한다.
丙戌刊 立例旣爲精密 其在繼述之義 一一奉遵 而或有不得不略加添潤者 并條列于下以 便考覽
|
1. 각파의 항렬行列은 금상 무진년(고종 5년, 1868)의 조정 명령朝令에 따라 모두 쌍동파雙洞派에 따르기로 하였는데 이제 출생하는 사람의 항렬을 동자東字부터 규자揆字까지 10세十世를 특별히 새로이 정한다.
各派行列 今上戊辰因朝令 皆從雙洞派 而方生之行 自東字 至揆字 凡十世 特爲新定
|
2. 병술보에서 생존한 사람으로서 개명改名이 많아 일일이 고이록攷異錄에 기록할 수 없으므로 각각 초명初名을 방주傍註로 썼는데 혹 방주에 누락된 것은 부득이 고이록에 첨부한다.
丙戌譜 生存人 改名甚多 不可一一載錄於攷異 故各書初名於傍註 而或有見漏於傍註者 不得已 入錄於攷異
|
3. 보판譜板의 전수량이 2,000여판에 이르므로 맨 처음에 천자天字를 갑편甲編에서 시작하여 정편丁編까지 매기고, 다시 천자를 무편戊編에서 시작하였는데 무편의 판수가 천자千字가 넘으므로 천자天字를 금주공파錦州公派에서 다시 매기되 글자 옆에 ○표를 첨가하여 구별하였다. 천자天字를 기편己編에서 다시 매겨 검색을 편리하게 하였다. 평장사공파平章事公派는 구舊 범례에 따라 다시 천자天字부터 매긴다.
譜板 全數多至二千餘板 故初起天字於甲編 至丁編 復起天字於戊編 而戊編板數踰於千字 再起天字於錦州公派 加圈於字傍 而別之 復起天字於己編以 便考閱 而平章公派 則依舊例 復起天字
|
4. 기편己編은 판관공判官公의 손자 부사직공副司直公 족종族從 30파로 나누어 입강(立綱; 綱目 즉 조목(條目)을 자세히 세움)하되 번창한 파는 구례(舊例)를 적용하여 一·二·三·四·五·六·七로 써서 그 권卷의 차례로 삼았고, 그리 번창하지 못한 파는 분강分綱은 하지 않고 혹 소강小綱만을 세운 것은 성편成編에 미달하기 때문이다. 평장사공파平章事公派에 이르러서는 진사공의 손자 7 종형제七從兄弟로서 또한 분파 입강立綱한다.
己編 則以判官公孫 副司直公族從 三十派分爲 立綱而蕃衍之派用舊例 書以一二三四五六七以 爲該卷之序次 不甚蕃衍之派 則不爲分編 而或立小綱者 綠於未足成編故也 至於平章公派 以進士公孫七從兄弟派 亦爲分綱
|
5. 서파庶派에 써 오던 취자娶字와 몰자歿字는 배配와 종終으로 바꿔쓰고, 재강再降·삼강三降함에 이루어서는 서자庶字를 쓰지 아니함으로써 해파該派의 요청에 될 수 있으면 따른다.
庶派之娶歿 改以配終書之 而至於再降三降 不書庶字 務從該派請願
|
6. 구보(舊譜)는 모두 판각으로 하였으나 이번에는 권질(卷帙)이 꽤 늘어나 재정의 압박이 커서 부득이 활판(活版)으로 인쇄하고 권두(卷頭)의 모든 문적(文籍)과 부록 한 벌은 별로 첨삭(添削)할 것이 없으므로 구판으로 인쇄한다.
舊譜 則皆以刊板 而今則卷帙頗多 財力甚綿 故不得已用活字印出 而弁卷諸文附錄一統 別無添删 故因舊板印出
|
7. 병술보丙戌譜에 이르기를 「다만 대언공代言公·호군공護軍公 양세兩世의 묘단기적비문墓壇紀蹟碑文만 첨부한 것은 약속을 이행하는 방침에 따른 것」이라 하였으나 귀로헌공歸老軒公)·화천공花川公·북계공北溪公의 비문은 정편丁編에 속하는 문자이나 병술년丙戌年에 미처 넣지 못하였으므로 금번에 모두 첨부하고 여타 비문을 다 수록하지 못한 것은 기존의 방침을 따랐기 때문이다.
丙戌譜曰 只以代言公護軍公兩世 紀蹟碑文添錄 從省約云 而歸老公 花川公 北溪公 碣文盖丁編文字 而未遑於丙戌 故添錄於今譜 餘外碣文未能盡錄者 亦從省約之意也
|
8. 문경 화천공파(花川公派)는 보단(譜單)이 오지를 않아 부득이 구보(舊譜)를 그대로 참고하였는데 그 파와 호군공파護軍公派가 상호 출계出繼 입후入后한 곳의 번호를 매길 때에 혹 누락된 곳이 있으므로 「화천파내花川派來」「 화천파거花川派去」로 써서 그 내역을 밝혔다.
聞慶 花川公派 譜單不來 故不得已 依舊譜翻謄 而該派 與護軍公派 互相出繼入后其於塡字之際 或有生養家闕漏處 故書以花川派來 花川派去以 明其來歷
|
9. 구보의 분산도墳山圖는 시중공부터 의정공까지만 실었으나 금번에는 좌랑공佐郞公, 판관공判官公, 증참판공贈叅判公, 증이참공의 산소도형을 첨부 감행하였다.
舊譜 墳山圖 自侍中公 止議政公 而今以佐郞公 判官公 贈叅判公 贈吏叅公 山所圖形 添刊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