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종회 연혁
광복 ~ 1999년 |
년 월 일 |
연 혁 |
1945. |
시중공묘소 세일제 시 무축단헌을 무축3헌으로 하여 파별 윤번제로 하기로 결의 |
1949. 11. 27 |
50인 유사 회의를 열어 화수회를 결성하기로 결의 [준비위원으로 완구, 동호, 봉구(서울 태평로), 석구, 남천, 원연, 돈길(서울 묵정동), 완묵(서울 창신동)을 선정함(서울 태평로 2가 봉구 댁에서)] |
1949. 12. 03 |
준비위원회를 열어 회칙작성, 위원으로 석구, 남천, 원연을 선출함(봉구 댁에서) |
1949. 12. 18 |
준비위원회 개최(명륜동 남철 댁에서) |
1949. 12. 30 |
발기인회의 개최(서울에서 개최, 발기인 32명) |
1950. 01. 29 |
창립총회 개최(서울 소공동 상공회의소 대강당, 참석인원 254명) [임원선임 : 회장 완구, 부회장 응연·대하·돈길, 봉선부 위원 성구·명하·동석·흥연·지연, 돈친부 위원 병저·정구·영연·동언·충희, 학사부 위원 원 연·병완·동선·동필·대연, 재무부 위원 봉구·용연·성호·동신·용연, 감사 준구·진연, 고문 석구] 매호당 300圓의 연회비와 찬조금을 주된 재원으로 삼다. |
1950. 04. 03 |
서울 중림동 244번지 가옥 매입계약 |
1950. 04. 10 |
제1회 정기총회 개최(서울 소공동 상공회의소 대강당에서, 참석인원 215명) |
1950. 04. 17 |
대의원 회의를 열어 중림동 가옥을 대성사라 명명하고 지방출신으로 서울에서 면학하는 종친(대학생)의 기숙처를 제공하는 장학사업을 하기로 결의함(태평로 봉구 댁에서) |
1950. 05. 04 |
대성사 매입 등기완료 [기금찬조자 : 봉구 50만圓, 용구 20만圓, 남천 34만圓, 지연 9만5천圓, 대하 5만圓, 김포종중 3만9천7백圓, 평택분회 2만1천圓, 평택종중 1만6천6백圓, 랑산분회 1만4천7백圓, 항구(장서)·남종(종암동)·응연·대연(충주)·용연·동욱(평택)·석구(영등포) 각 1만圓, 1만圓이하는 너무 많아 생략함] |
1954. 05. 30 |
화수회재건추진위원회를 개최함(태평로 봉구 댁에서) [참석자 : 동진·성구·봉구·용구·명구·성구(가회동)·남준·남수(민의원)·대연·지연·대연(이상 11명 참석)] [재건준비위원장 : 대연, 부위원장 : 봉구·남수, 위원 : 동호·동필·성구·준구(창신동)·석구·성구·지연·풍연, 간사에 학구 취임] |
1955. 06. 27 |
견성암내 산령각(시중공 영정각)을 다시 지음 [찬조인 : 종구(단교동·현회장) 5만圓, 봉구·갑구(이리) 각 2만圓, 명하(연평리)·명구·용구·돈석(좌의리)·창구(남원) 각 1만圓(이하 생략)] |
1956. 12. 02. |
제2회 정기총회 개최(서울 관훈동 중앙예식장에서) [임원선임 : 회장 : 대연, 부회장 : 남수·성호·영재, 총무 : 봉구, 감사 준구·성율, 간사 : 학구] |
1957. 04. 28 |
제3회 정기총회 개최(서울 관훈동 중앙예식장에서) |
1957. 08. 14 |
송능리 산 1번지 종산 나무 벌채(견성암 수리비 충당을 위해서 였으나 반출금지 등으로 실효를 거두지 못함) |
1957. 08~10 |
견성암 대대적 수리 [찬조금 : 서울 2만9천圓, 부여 56만圓, 상주 42만1천圓, 포천 6만4천9백圓, 양주 1만5천圓, 문경 3만圓, 평택 5만6천7백5십圓, 대덕 6천7백5십圓, 청주 3천圓, 광주 6만4천圓, 아산 2천7백오십圓, 익산 1천5백圓, 화성 3만4천1백圓, 김포 16만1천2백5십圓, 강진 7만5천圓, 충주 5만圓, 양구 4만5천圓, 서천 15만圓, 금주공파 5만圓, 춘천 3만8백5십圓, 음성 3만圓, 산단 1만8천7백5십圓(이하 생략)] |
1958. 04. 13 |
제4회 정기총회 개최 |
1958. 04. 17 |
시중공 묘소 개사초 |
1958. 05. 11 |
재경 지방출신 학생 기숙사업 개시 |
1958. 11. 06 |
임시총회 개최(양주 견성암에서) |
1959. 04. 12 |
제5회 정기총회 개최(양주 견성암에서) |
1959. 09~10 |
송능리 산 1번지 종산 입구에 산직 가옥 건축 |
1959. 10. 22 |
임시총회 개최(양주 견성암에서) |
1960. 02. 28 |
임원회의를 열어 학생 기숙 사업을 폐지하기로 결의(운영난과 중림동 가옥 매입시 부채청산을 위한 것) |
1960. 04. 01 |
대성사의 학생 기숙 사업을 폐지하고 안채를 전세로 임대(150만圓)하여 은행 부채(120만圓) 청산과 기와 공사비(3만圓)에 충당함 |
1960. 04. 17 |
제6회 정기총회 개최(양주 견성암에서), 임원의 임기 3년을 1년으로, 봄에 여는 정기총회를 가을 시중공 세일제(음력 9월 종료일)의 전일에 열기로 회칙 개정 |
1961. 08 |
화수회 간사 교체(학구 퇴임하고 남권 취임) |
1961. 10. 30 |
제7회 정기총회 개최(양주 견성암에서) |
1962. 05. 31 |
전화가입(3-4281번, 후에 23-4281번으로 변경, 회장 종구 희사) |
1962. 10. 25 |
제8회 정기총회 개최(양주 견성암에서) [임원선임 : 회장 종구, 부회장 창희·명하·영재, 총무 용구(이하 생략)] |
1963. 06. 18 |
견성암 수리(부식된 기둥과 서까래 보수 등) |
1963. 11. 09 |
제9회 정기총회 개최(양주 견성암에서), 회칙을 개정하여 연회비제를 폐기하고 임원 임기 1년을 3년으로 연장함, 임원 개선 |
1964. 10. 24 |
제10회 정기총회 개최(양주 견성암에서) |
1965. 10. 19 |
제11회 정기총회 개최(양주 견성암에서) |
1965. 12. 05 |
대성사 전세 해제(회장 종구 희사, 이로서 매입시의 부채가 청산됨) |
1966. 10. 20 |
제관복(도포) 7벌 장만(재일교포 대연 헌성) |
1966. 10. 20 |
시중공 사적기, 산령각 중건기, 정유년의 견성암 중건기 등 현판 3폭을 장만하여 견성암에 게재함 |
1966. 11. 03 |
제12회 정기총회 개최(양주 견성암에서) |
1967. 10. 29 |
제13회 정기총회 개최(양주 견성암에서), 임원 개선 |
1968. 04. 05 |
시중공 묘소 개사초 |
1968. 04. 07 |
시중공 묘소 주변 식수(잣나무 1천 그루·낙엽송 1천 그루, 춘천 성연 헌수) |
1968. 11. 12 |
제14회 정기총회 개최(양주 견성암에서), 시중공 묘하에 재실(풍양재) 건축을 결의 |
1969. 03. 12 |
송능리 312번지의 1 풍양재 대지 매입(580평, 동식 헌성 12만원) |
1969. 03. 22 |
송능리 산 1번지 종산에서 산불 발생(나무꾼의 실화로 추정되며 약 4시간 연소) |
1969. 11. 07 |
제15회 정기총회 개최(양주 견성암에서) |
1969. 11. 8 |
풍양재 낙성식 거행(재실 : 벽돌적 기와지붕 1동 15.75평, 묘직가옥 : 목조 함석지붕 1동 17.70평) [찬조금 : 호군공파 10만원, 회양공파 22만1천원, 금주공파 2만1천원, 남원공파 5만원, 강진파 4천원, 서천 처사공 종중 1만원, 회장 종구 30만원, 부회장 영구 5만원·영묵 3만원, 총무 용구 4만원, 감사 동신·준구 각 1만원, 창구(예장동)·남이·남중·남권·남수 각 1만원(이하 생략)] |
1970. 04. 08 |
견성암내 현종 설치(화수회와 신도 합작, 40근) |
1970. 04. 12 |
풍양재와 견성암 경내에 풍치림 식수(은행나무·느티나무·벽오동나무·동청·사철 등, 참가 종인들 헌수) |
1970.9.10~23 |
견성암 일부 수리 |
1970. 10. 23 |
제16회 정기총회 개최(양주 견성암에서), 임원 개선, 오남리 종산 매도 결의 |
1971. 04. 11 |
풍양재와 견성암 경내에 유실수와 풍치림 식수(감나무·밤나무·은행나무·느티나무·향나무·사철·백일홍·겹사꾸라 등, 일부 매입과 일부 헌수) |
1971. 11. 07 |
제17회 정기총회 개최(양주 견성암에서) |
1972. 4.9~16 |
시중공 묘도에 콘크리트 계단 설치(94계단, 회장 종구 헌성) |
1972. 06. 10 |
오남리 종산 171번지 종산 매도(6,510평) |
1972. 11. 01 |
제18회 정기총회 개최(양주 견성암에서) |
1972. 12. 26 |
송능리 종산 영림계획 수립(행정관청의 권고에 의함) |
1973. 01. 18 |
송능리 종산의 병충해 임목 매도(영림계획에 의함) |
1973. 10. 17 |
제19회 정기총회 개최(양주 견성암에서), 임원 개선, 양주 진건면 일원의 종토를 매도하여 서울지역에 토지를 매입하기로 결의 |
1974 |
환토계획 실시, 매도 : 양주 진건면 답 10필지 4,818평, 매입: 서울 개포동 답 2필지 1,330평 |
1974. 11. 11 |
제20회 정기총회 개최(양주 견성암에서) |
1975. 08. 15 |
시중공 동상(천마산령 상) 봉안식 거행(견성암 경내의 석굴에 봉안) [성금 : 회장 종구 120만원, 부회장 영구 20만원· 영묵 10만원, 총무 종구 10만원, 이사 동식 10만원·용구 50만원·남중 10만원·동진 1만원, 음성 태구 2만원(이하 생략) 기타 각지 자손이 헌성한 놋쇠 40관] |
1975. 10. 27 |
제21회 정기총회 개최(양주 견성암에서) |
1976. 06. 06 |
견성암과 풍양재의 지붕 수리 |
1976. 11. 20 |
제22회 정기총회 개최(양주 견성암에서) [임원선임 : 회장 종구, 부회장 성학·영구·영묵, 총무 용구, 재무 남중, 유사 동진·근하] 5중간세보와 세록을 발행하기로 결의 [임원선임 : 도유사 종구, 부유사 성학·동진·동세·돈철, 지도위원 : 용구·영구·영묵, 총무유사 : 남권(이하 생략)] |
1977. 01. 04 |
보청 개설(중림동 화수회 사무소에서) |
1977. 01. 09 |
세보 및 세록 제1차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 심의(서울 북창동 한국회관에서) |
1977. 04. 03 |
춘천종중 방문(회양공 배위 고성이씨 및 좌랑공 휘 안평 묘소 참배와 기념식수, 148명 참가) |
1977. 04. 05 |
시중공 묘소 개사초 |
1977. 08. 14 |
풍육회원(대전과 부여읍 화수회원 포함)의 시중공 묘소 성묘행사 접대(인원 172명) |
1977. 11. 05 |
제23회 정기총회 개최(양주 견성암에서) |
1977. 12. 04 |
세보 및 세록 제2차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심의(서울 북창동 한국회관에서) [계보심사위원 선임 : 위원장 동진, 위원 성학·성구·남진·성직·동섭 후개 남준·현구·봉연 후개 남충·동세·남규·돈철·돈목·진묵] |
1977. 12. 22 |
보계 심사 개시 |
1978. 01. 24 |
개포동 종토 1필지(407평) 소유권 상실(원인 무효소 대법원 패소, 매입대금은 회수 됨) |
1978. 04. 09 |
덕림종중 방문(회양공 휘 신 묘소 참배와 은행나무 200주 기념 식수, 197명 참가) |
1978. 05. 08 |
화수회 간사 교체(남권 퇴임하고 남열 취임) |
1978. 07. 01 |
계보 심사 종료 |
1978. 08. 10 |
견성암 건물 등기 필(풍양조씨화수회 명의) |
1978. 10. 21 |
제24회 정기총회 개최(양주 견성암에서) |
1978. 10. 21 |
시조 시중공 유적비 제막(길이 9척, 폭 2.6척, 두께 1.6척, 유사 동진 헌성) |
1978. 12. 30 |
5중간보 인쇄 완료(무오보라 명명) |
1979. 04. 08 |
상주 종중 방문(남장보각을 경건하게 살핌, 좌랑공 휘 하 · 사인공 휘 서정 · 검간공 휘 정 기소 별묘 참배와 옥류정 관람 및 기념식수, 139명 참가) |
1979. 05. 01 |
견성암 변소 개축 준공(관청 당국의 정화책에 의함) |
1979. 06. 05 |
송능리 산 1번지 종산 입구에 다리 가설(회장 종구 자비 부담) |
1979. 11. 15 |
제25회 정기총회 개최(양주 견성암에서) [임원선임 : 회장 종구, 부회장 동진·원연·돈철, 총무 남권, 재무 남중, 유사 남규·돈목] |
1980. 04. 13 |
남원공 종중(남양) 및 포저공 종중(예산) 방문(묘소 참배와 기념식수, 139명 참가) |
1980. 03. 25 |
세보 조판을 위해 설치한 조판시설 임대계약 체결(월세 40만원 수입) |
1980. 05. 21 |
견성암 전기 가설(본회와 신도 공동 부담) |
1980. 09 |
견성암 요사채 수리 |
1980. 12. 30 |
풍양재 건물 등기완료(풍양조씨화수회 명의) |
1980. 10. 30 |
제26회 정기총회 개최(양주 견성암에서) |
1981. 03. 23 |
송능리 산 1번지 종산에서 산불 발생(견성암 신도들의 실화) |
1981. 4.1~27 |
견성암 진입로 확장공사 실시 [찬조인 : 회장 종구 200만원, 부회장 동진 50만원·원연 100만원·돈철 50만원, 총무 남권 10만원, 재무 남중 100만원, 유사 남규 5만원, 이사 동신 3만원·성구 5만원·용구 50만원·만성 5만원·경구 5만원·도연 5만원·광연 3만원·돈을 5만원·남수 5만원·수연 30만원·남열 5만원·황묵 5만원·남종 10만원·용기 5만원, 감사 봉구 5만원, 고문 준구 5만원, 풍육회장 종구 5만원] |
1981. 05. 15 |
풍양조씨세록 인쇄 완료 |
1990. 04 |
대종회관 건축허가 취득 |
1990. 11 |
제36회 정기총회 개최(견성암) 대종회관 건립자금 충당을 위해 서울시 강남구 포이동 233 소재 대지 52.24평의 매도 결의권을 이사회에 위임 |
1991. 10 |
제37회 정기총회 개최(견성암) [임원선임 : 회장 정구, 부회장 광희·남중·돈철, 총무 : 남철·남권] |
1993.10 |
대종회관 장기간 착공 지연으로 건축 허가취소 예고 접수 회장 정구 별세, 회장 직무대행 돈철 취임 제39회 정기총회 개최 종인등록제 도입시행, 풍양조씨화수회를 『풍양조씨대종회』로 명칭 변경 |
1994. 05 |
대종회관(지하 1층, 지상 5층, 연건평 524평)의 건축허가 취득 대종회관 건축공사를 도급액 8억원에 대양건설(주)와 도급계약체결 |
1994. 07 |
대종회관 기공식 거행 (서울 강남구 포이동 231-11 현장) |
1994. 10 |
제40회 정기총회(견성암) [임원선임 : 회장 광희, 부회장 성순·남중·호연·남철·동환·황묵·동식, 감사 기하·병언 총무이사 병희, 재무이사 남인] |
1995. 05. 08 |
대종회관 준공(강남구청) 허가, 대종회 사무실 포이동 회관으로 이전 |
1995. 05. 29 |
대종회관 준공식 거행 |
1995. 06 |
종가 및 종훈 제정 |
1995. 10 |
제41회 정기총회 개최(견성암) 대종회 회계연도 변경 (1. 1 ~ 12. 31) 정기총회 시기 및 장소 변경(매년 2월중 서울시내) 년회비 제도 폐지 |
1995. 12 |
문집총서 8, 9집 발간 |
1996. 08. 01 |
풍양조씨종보 창간호 발간 |
1997. 02 |
제42회 정기총회 서울에서 개최(포이동 여선교회관) |
1998. 02 |
제43회 정기총회 개최(여선교회관) [임원선임 : 명예회장 광희, 회장 남중, 부회장 성순·종구·중구·숙연·기하·돈길·동식, 감사 성운·남명, 총무이사 병희, 재무이사 남인] |
1998. 05 |
합동제단 정화사업 착수 |
1998. 09 |
견성암 산령각, 약사전 보수 준공 고유제 봉행 |
1999. 10 |
우천 조완구선생 기념사업회 결성 |
1999. 11 |
견성암 수양굴 보수, 고유제 봉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