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군공파

상장군공파

글자작게 글자크기 글자크게

ma01.png 상장군공파上將軍公派

 

풍양조문豐壤趙門에서 가장 먼저 과거급제하신 분이 동정공東亭公 휘주諱注이다. 세종조世宗朝 때에 대괴大魁 즉 장원급제로 호조참의戶曹叅議에까지 이르렀다. 그러나 나주羅州로 낙향하여 벽류정碧流亭을 짓고, 고관대작의 영화榮華를 모두 버리고 안빈낙도를 하였으니 관직은 이것이 전부이다. 동방급제자同榜及第者인 민효열閔孝悅은 동정공東亭公의 개결介潔한 모습을 시詩 한수에 이렇게 담아 전해지고 있다.

동방급제同榜及第를 했을 때 그대는 장원壯元 /同榜君爲魁

황감과黃柑科1) 보려고 어렵게 강 건너지만 /黃柑洛水程

도강道康2) 이라니 선조先祖의 자취가 배인 그 고을로 /道康桑梓邑

충효忠孝는 바로 그 집안의 명성名聲이었네! /忠孝乃家聲

상장군파上將軍公派의 행장行狀은 5점이며, 묘도문墓道文은 3점이 있다. 좀 더 상세히 분류하면 행록行錄 2점, 실적비實蹟碑 1점, 행장行狀 2점, 묘갈명墓碣銘 3점, 정려旌閭 1점이 있다. 총 정려 포함하여 9점이다. 많은 인물을 배출하지는 못했어도 충효忠孝의 정신으로 가성家聲을 떨치었으니 백세百世토록 빛날 것이다.

 

☞ 묘도문

 ◦행장行狀(5점)

약헌공휘형구〈約軒公諱亨九行狀〉문인文人 독립운동가 김경환金景煥 근장

신암공휘승하〈新菴公諱承夏行狀〉항일운동가  서주瑞州 정기鄭琦 근찬

주부공휘경남〈主簿公諱慶男實蹟碑〉

- 주부공입근실적비主簿公立慬實蹟碑 종인宗人 승정원좌승지 종진琮鎭찬

진사공휘사웅〈進士公諱士雄行錄〉12대손十二代孫 원구元九근기

천곡공휘시경〈泉谷公諱時璟行錄〉방8대손傍八代孫 원구元九근기

 

 ◦묘갈명墓碣銘(3점)

동정공휘주〈東亭公諱注〉항일운동가  서주瑞州 정기鄭琦 근찬

학생공휘득하〈學生公諱得夏〉   

- 의혜비명義惠碑銘  의병장 행주幸州 기우만奇宇萬 찬

- 목인비명睦婣碑銘 민족운동가 김해金海 김영근金永根 찬

 

 ◦정려旌閭(1점)  

효자孝子: 증교관공휘병희〈贈校官公諱秉熙〉

- 효자조공정려기孝子趙公旌閭記 행주幸州  의병장 기우만奇宇萬근찬

 

<>

 1) 조선시대 관학(館學: 성균관과 四學) 유생의 사기를 높이고 학문을 권장하기 위하여 그들만을 응시대상으로 시행한 과거 제도이다. 매년 제주도의 특산물인 감귤이 진상되어올 때, 성균관의 명륜당(明倫堂)에 관학 유생들을 모아놓고 감귤을 나누어준 뒤 시제(試題)를 내려 유생들을 시험하였다고 한다. 조선왕조실록 세종11년 5월 30일 기사에 의하면“근정전(勤政殿)에 나아가 친시(親試)에 급제(及弟)한 조주(趙注)·민효열(閔孝悅)·장근지(張謹止) 등 세 사람의 방(榜)을 내어 걸었다.”라고 되어있다.

 2) 전라남도 강진 지역의 옛 지명이다. 고려 초기에 도강으로 고쳐서 현(縣)으로 강등하여 영암군(靈巖郡)에 붙였다가, 조선 태종(太宗) 17년(1417)에 탐진현(耽津縣)과 합하여 강진(康津)이라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