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집총서

문집총서

글자작게 글자크기 글자크게

ma01.png 豐壤趙氏 文集叢書(풍양조씨 문집총서 17권)

 

poongyang6_3_02.jpg

 

서문(序文)

 

여기 풍양조씨 문집총서(豐壤趙氏 文集叢書)라는 표제(標題)로 인출(印出)하게 되는 이 문적(文籍)은 우리 조문(趙門)의 역대 선인들께서 편집(編輯)했거나 저술(著述)하신 여러 문집류(文集類)를 취합(聚合)하여 발간함으로써 그 보급과 전수를 목적으로 하는 우리 종문(宗門)의 또 하나의 중요한 사업이다.

 

예로부터 고도의 정신문화 생활을 하여 오신 우리 선인(先人)들께서는 그 유업(遺業)으로서 많은 문집류(文集類)의 편저(編著)를 남기시었다. 그중에는 이미 자손이나 공공기관의 주선(周旋)으로 간행된 것도 있으나 아직껏 수사본(手寫本)으로 전하는 것이 적지 아니하며 또한 이미 간행되었다 하더라도 세월이 오래되고 병화(兵火)가 거듭함에 따라 점차로 희귀(稀貴)해져 가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오늘날 우리가 살아가는 세대는 물질이 우선하는 시대일 뿐 아니라 거의 모두가 난해(難解)한 한문(漢文)으로 쓰여져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문(遺文)에 대한 관심이 날로 희박(稀薄)해져 가고 있음도 또한 부인(否認) 못할 부끄러운 현실이다. 이러한 세(勢)라면 자칫 잘못하다가는 아무도 모르는 사이에 하나둘씩 산실(散失)되어 갈 우려마저 없지 않은 것이다.

 

이와 같은 연유로 우리 종문(宗門)에서는 유문(遺間)의 합일(合一)된 종의(宗議)에 의하여 금년 초부터 본 합간사업(合刊事業)을 추진하여왔고 그동안 주간(主幹)한 제종(諸宗)들의 노고(勞苦)의 결정(結晶)으로 이번에 그 제1편(第一輯)의 인출(印出)을 보게 된 것이다. 무료 500년간이란 장구(長久)한 세월에 걸쳐 다수인(多數人)에 의해 이루어진 공사(公私) 장존(藏存)의 고본(稿本)이나 원서(原書)를 모아 편저자(編著者)의 출생연대순(出生年代順)으로 적의(適宜)하게 分編하여 발간하는 것이니 본 간행사업이 엽역(畢役 : 성대하게 끝내는 일)을 하기까지는 앞으로도 수개년(數個年)이 더 걸리게 될 것으로 생각된다.

 

무릇 양(洋)의 동서(東西)를 불문(不問)하고 인간은 누구나 다 같이 자기 조상의 유산(遺産)을 사랑하여 아껴 갈 줄 알고 있다. 그러므로 비록 깨어진 기와 한 조각이나 녹슬은 쇠붙이 한 토막까지도 온갖 정성을 다하여 간수해 가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하물며 우리 역대 선인들의 어떤 유산보다도 가장 값지다 할 수 있는 이 문집이야말로 어찌 감히 조금이라도 소홀히 할 수 있겠는가? 아무쪼록 뜻 깊은 본 합간사업(合刊事業)이 순조롭게 유종의 미를 거둘 수 있도록 강호(江湖) 종친제위(宗親諸位)의 끊임없는 성원(聲援)을 기대하면서 이를 서문(序文)으로 한다.

1985. 8. 26일

풍양조씨화수회 회장 정구(鼎九) 근서(謹序)

 

 

책자별 수록내용

 

책(편)

수 록 내 용

발간년도

비고

1

삼한시 귀감(조운흘), 독암유고(조종경), 여어편류(조인규), 죽계유고(조응록)

1985

 

2

검간선생 문집(조정), 풍옥헌유고(조수륜), 가규선생 문집(조익), 북계선생 문집(조광벽), 화천공 연행록(조즙), 설죽집(조국빈), 처사공유고(조척), 초은공유고(조기원), 수죽유고(조방직), 석곡유고(조박)

1987

 

3

포저선생집(조익), 포저선생 년보

1988

 

4

포저선생유서(조익), 가례향의 , 주서요류 , 포저선생 동계록

1988

 

5

씨족원류(조종운)

1991

 

6

창강선생집(조속), 후포유고(조전소), 취병유고(조형), 낙수유고(조광형), 가례비람(조광형), 모암유고(조능), 송곡선생집(조복양), 도산유고(조내양), 죽파유고(조원윤), 입재유고(조대윤), 우재집(조지겸)

1991

 

7

성강유고(조견소), 기년통고(조견소)

1991

 

8

동강선생 유고(조상우), 졸수재유고(조태징), 지와고(조대수), 주암공 유고(조언광), 후계집(조유수), 소헌유고(조해), 사례회요(조시달), 묵소고(조석명), 학암집(조문명), 손재집(조재호), 매사 5 영(조재호), 영모록(조희경)

1995

 

9

학당유고(조상경), 학당전고(조상경), 퇴수암 유고(조성복)

1995

 

10

중애유고(조시경), 돈암유고(조수), 귀록집(조현명), 직방재유고(조인경)

2001

 

11

동계집(조귀명), 이안당 문집(조천경), 취지재 문집(조위경), 해사일기(조엄), 내호일기(조정), 존성재 유고(조석우), 만락재 유고(조석룡)

2001

 

12

정와선생 문집(조철호), 인암유고(조재도), 일성제 문집(조석노), 정사문집(조석목), 하서집(조경), 송와유고(조병연), 호판공유고(조정진), 영연만록(조정진), 구당선생 문집(조목주)

2003

 

13

하정유고(조진관), 숭절사삼충록(저진관), 가은유고(조학주), 쇄소제문집(조남주), 가촌유고(조기연), 격치제유고(조석검), 성제일기(조탁주), 몽암수필(조운사), 봉호유고(조진택), 봉호일기(조진택 ), 소한잡영(조운경)

2004

 

14

애규제집(조양존), 매은유고(조승주), 일곡집(조득영), 가례증보(조진구), 의례구선(조진구)

2006

 

15

동해유고(조종진), 담기헌유고(조필감), 치제유고(조덕), 석애유고(조만영), 성건부군유고(조술주), 운석유고(조인영),

2008

 

16

면암유고(조운종), 모강유고(조입하), 성제집(조병현), 청소유고(조용화), 동천집(조병황), 동일제부군유고(조술대), 위제문집(조상덕)

2009

 

17

구암치와양세유고(조술학), 총계집(조동좌), 묵제기사(조정영), 신암유고(조승하), 소석유고(조병기), 벽서부군유고(조학구), 서호세초(조문영), 추우등(조동숙), 규원문집(조용구), 이제유고(조초하), 약헌유고(조형구), 성암선생문집(조준하)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