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려란?
정려旌閭 |
정려문旌閭門은 출입을 위한 문이 아니라 충신忠臣, 효자孝子, 효부孝婦, 열녀烈女 등을 기리기 위해 세운 상징적인 건물이다. 여기에는 정려비旌閭碑나 현판처럼 만든 정려기旌閭記를 모시는데 그래서 정려각旌閭閣이라고도 부른다. 정려각은 규모가 작은 단칸 건물에 맞배지붕으로 하고 벽은 홍살로 마감하는 경우가 많다. 정려각旌閭閣은 대개 마을 어귀에 세워 귀감龜鑑이 되도록 했으며 따로 담장을 둘러 쪽문을 설치하는 경우가 보통이다.
풍양조씨豐壤趙氏는 타성 못지않게 정려문旌閭門을 많이 받은 편이다. 특히 눈에 띄는 것은 회양공 좌랑공파의 삼세사정려三世四旌閭이며, 문의공파의 삼세효열비각三世孝烈碑閣이다. 3대에 걸쳐서 충신, 열녀, 효자가 나왔다는 것이 대단히 자랑스러운 후손들에게 사표師表가 될 만한 역사적 자산이다. 평장사공파는 임진왜란 때 왜적의 못된 행실에 저항하여 시집도 안 간 처녀가 물에 빠져 숨지며, 조정朝廷에서 이 숭고한 뜻을 기르고자 정문旌門을 세운 사례이다.
1. 호군공파護軍公派 |
|
열녀烈女 |
학생공휘건연배절부김씨〈學生公諱健然配節婦金氏〉 - 정려기旌閭記 진사 조석철趙錫喆 - 정려각급묘소사적旌閭閣及墓所事蹟 5대손 택연澤衍 근록 |
효자孝子 |
매재공휘완규〈晩梅齋公諱完圭〉 호군공파 - 효려기孝閭記 후학後學 이선화李善和 찬 - 추기追記 족종손族從孫 남규南圭 찬 |
2. 회양공 좌랑공 휘안평파(淮陽公 佐郞公 諱安平派) |
|
효자孝子 |
처사공휘척〈處士公諱滌〉 - 정려시예조계사旌閭時禮曹啓辭 |
효자孝子 |
하서공휘경〈荷棲公諱璥自銘〉 - 충정공忠定公 조경趙璥 치제문(忠定公趙璥致祭文) 정조대왕 - 판부사 조경趙璥의 죽음을 애도한 하교(判府事趙璥隱卒敎) 정조대왕 |
∘삼세사정려三世四旌閭 |
|
충신忠臣 |
귀로헌공휘수헌〈歸老軒公諱守憲〉 증예조참의공휘탁〈贈禮曹叅議公諱濯〉장자長子 |
열녀烈女 |
증정부인완산이씨〈贈貞夫人完山李氏〉귀로헌공계배歸老軒公繼配 |
효자孝子 |
참봉공휘여학〈參奉公諱汝㰒〉장손長孫 - 귀로헌공휘수헌〈歸老軒公諱守憲神道碑銘〉성균관장 박성수朴性洙 찬 |
3. 회양공 사옹원정공(휘개평)파司饔院正公(諱開平)派 |
|
열녀烈女 |
증숙인창원황씨〈贈淑人昌原黃氏星江公見素初配〉회양공 사옹정공파 - 정려이건기旌閭移建記 완산후인 이중명李重明 찬 |
효자孝子 |
지평공휘성일전〈持平公諱聖一〉 |
열녀烈女 |
숙인온양정씨〈贈淑人溫陽鄭氏持平公聖一配〉 - 정서呈書 - 본관제사本官題辭, 본관보장本官報狀, 영제營題, 정영장呈營狀, 제題 - 증사헌부지평조공효자비贈司憲府持平趙公孝子碑 안동 권진權袗근식 |
열녀烈女 |
유인선산김씨〈孺人善山金氏學生公壎后配〉장례원입안掌禮院立案 |
열녀烈女 |
유인용궁전씨〈孺人龍宮全氏學生公珍九后配〉장례원입안掌禮院立案 |
효자孝子 |
통덕랑공휘화진〈通德郞公諱華鎭〉기사유장己巳儒狀 |
열녀烈女 |
숙인전주이씨〈淑人全州李氏僉正公安和后配〉갑진유장갑진儒狀 |
4. 평장사공파平章事公派 |
|
열녀烈女 |
증찬성공휘간 여〈贈贊成公諱侃 女〉 - 동국신속삼강행실도東國新續三綱行實圖 5집, 열녀도 제5권, 이상규李相揆 |
5. 상장군공파上將軍公派 |
|
효자孝子 |
증교관공휘병희〈贈校官公諱秉熙〉 - 효자조공정려기孝子趙公旌閭記 행주幸州 의병장 기우만奇宇萬근찬 |
6. 문의공파文義公派 |
|
∘삼세효열비각三世孝烈碑閣 |
|
1세 효자孝子 |
학생공휘발화〈學生公諱發和〉 |
열녀烈女 |
유인달성서씨〈孺人達城徐氏〉 |
2세 효자孝子 |
동중추공휘병묵〈同中樞公諱秉黙〉 |
열녀烈女 |
열녀烈女: 정부인광산김씨〈貞夫人光山金氏〉 |
3세 효자孝子 |
참봉공휘종하〈參奉公諱宗夏〉 - 학생공휘발화〈學生公諱發和〉 讚揚文 모성공회慕聖公會 회장 판서判書 김종한金宗漢 외 21인 - 풍양조씨3세효열비명豐壤趙氏三世孝烈碑銘 예조판서 김종한金宗漢찬 |
7. 현감공파縣監公派 |
|
효자孝子 |
성당공휘연일〈誠堂公諱然一〉정려기旌閭記 이조판서 조강하趙康夏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