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양공 1子 좌랑공 안평파
회양공 1子 좌랑공 안평파(淮陽公 一子 佐郞公 安平派) |
회양공 좌랑공(휘안평)파의 행장行狀은 23점이며, 묘도문墓道文은 총 78점이다. 좀 더 상세히 분류하면 행록行錄 9점, 시장諡狀 1점, 가장家狀 3점, 행장行狀 10점, 신도비神道碑 12점, 묘갈명墓碣銘 20점, 묘표墓表 35점, 묘지명墓誌銘 11점, 제문祭文 4점, 유사遺事 22점, 정려旌閭 6점이 있다. 총 133점이다. 이 묘도문에서는 다양한 글들을 수록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특히 은륜비恩倫碑에 수록된 하서공荷棲公 휘경諱璥이 별세하고 소상小祥이 되어 정조대왕正祖大王이 직접 써 보낸 치제문致祭文이 눈에 띈다.
- 중략中略 -
경이 세상을 떠난 지 한 해가 돌아오니 / 歲周輟舂,
나를 살필 거울이 없는 애통함이 깊어 / 痛深亡鑑,
시호諡號와 정려旌閭를 내려 표창했으나 / 節壹旌楔,
경의 행실에 비하면 부족하네 / 媲行則歉
하서공荷棲公은 그 이유는 모르겠지만 신도비神道碑가 없다. 다만 그 스스로 찬술한 자명自銘 묘갈墓碣이 있을 뿐이다. 조선의 선비라 할 만한 고고한 풍모임을 이를 통해 알 수 있다. 그 외에도 예조판서 강하康夏가 제진製進한 신정익황후神貞翼皇后의 행장 전문이 수록되어 있다. 신정황후는 익종翼宗의 왕비이자 24대 헌종憲宗의 어머니이지만 우리에게는 조대비로 더 많이 알려 있다.
☞ 행장과 묘도문
◦행장行狀(23점)
사예공휘정추행록〈司藝公諱廷樞行錄〉
지재공휘직행장〈止齋公諱溭行狀〉우의정우의정 윤증尹拯 찬, 후기後記
사인공휘정기행장〈舍人公諱廷機行狀〉고자孤子 수륜·수익守倫守翼 근장
풍옥헌공휘수륜행장〈風玉軒公諱守倫行狀〉장자長子 척滌 근찬
처사공휘척행장〈處士公諱滌行狀〉현손玄孫 정우挺宇 근술
창강공휘속행장〈滄江公諱涑行狀〉불초고不肖孤 지운之耘 경서
교리공휘수익행장〈校理公諱守翼行狀〉자子 약·흡·확瀹潝㴶 근찬
증좌랑공휘약행록〈贈佐郞公諱瀹行錄〉
풍안군휘흡시장〈豐安君諱潝諡狀〉예조판서忠文禮曹判書 민진후閔鎭厚 찬
이재공휘장하행장〈履齋公諱章夏行狀〉대사성大司成 김복한金福漢 근장
물재공휘강하행록〈勿齋公諱康夏行錄〉대사성大司成 김복한金福漢 근장
영호공휘엄가장〈永湖公諱曮家狀〉손자孫子 문충文忠 영의정 인영寅永 근찬
가정공휘진관가장〈柯汀公諱鎭寬家狀〉자子 문충文忠 영의정 인영寅永 근찬
신정황후조씨행장〈神貞皇后趙氏行狀〉예조판서 조강하趙康夏 제진製進
북해공휘종영행록〈北海公諱鍾永行錄〉대사성大司成 김복한金福漢 근장
목사공휘상기행장〈牧使公諱尙紀行狀〉남男 충정忠定 우의정右議政 경璥 근찬
일곡공휘득영가장〈日谷公諱得永家狀〉남男 대제학 병현秉鉉 근찬
작농공휘정구행록〈勺農公諱鼎九行錄〉부제학, 독립운동가
우천공휘완구행록〈藕泉公諱琬九行錄〉독립운동가
판관공휘진구행록〈判官公諱鎭球行錄〉일반기사
황간공휘확행장〈黃澗公諱㴶行狀〉불초고不肖孤 창운昌耘 근장
만오당공휘여수행록〈晩悟堂公諱汝秀行錄〉12세손十二世孫 성열誠列 근기
헌납공휘수준행록〈獻納公諱守準行錄〉
◦신도비神道碑(12점)
한평군휘익정신도비명〈漢平君諱益貞神道碑銘〉영의정 홍서봉洪瑞鳳 찬
풍안군휘흡신도비명〈豐安君諱潝神道碑銘〉우암 송시열尤菴宋時烈 찬
학당공휘상경〈鶴塘公諱尙絅神道碑銘〉문정 대제학文貞大提學 김이교金履喬찬
영호공휘엄〈永湖公諱曮神道碑銘〉문헌文獻 대제학·영의정 남공철南公轍 찬
가정공휘진관〈柯汀公諱鎭寬神道碑銘〉이조판서吏曹判書 윤정현尹定鉉찬
석애공휘만영〈石厓公諱萬永神道碑銘〉충문 영의정忠文領議政 김흥근金興根찬
유하공휘병구〈游荷公諱秉龜神道碑銘〉문익 영의정文翼領議政 홍순목金興根찬
운석공휘인영〈雲石公諱寅永神道碑銘〉문헌 영의정文獻領議政 조두순趙斗淳찬
소석공휘병기〈小石公諱秉夔神道碑銘〉충문 영의정忠文領議政 김병국金炳國찬
하서공휘경은륜비〈荷棲公諱璥恩倫碑〉정조대왕 글, 자子 진구鎭球 근식謹識
화천공휘즙〈花川公諱濈神道碑銘〉족후손族後孫 이조판서 종영鐘永찬
귀로헌공휘수헌〈歸老軒公諱守憲神道碑銘〉성균관장 박성수朴性洙 찬
◦묘갈명墓碣銘(20점)
좌랑공휘안평〈佐郞公諱安平〉13대손 영의정領議政 인영寅永 근찬
설죽공휘국빈〈雪竹公諱國賓〉족후손族後孫 남권南權 근찬
진사공휘팽묘갈〈進士公諱彭墓碣〉찬인무고撰人無考
사인공휘정기〈舍人公諱廷機〉문정 좌의정文正左議政 김상헌金尙憲 찬
풍옥헌공휘수륜〈風玉軒公諱守倫〉문성 우의정文成右議政 윤증尹拯 찬
승지공휘남일〈承旨公諱南日〉덕은德殷 송각헌宋珏憲 찬
매창공휘지운〈梅窓公諱之耘〉대제학大提學 이덕수李德壽 찬
증이조참판공휘형보〈贈吏曹叅判公諱衡輔〉대제학大提學 이덕수李德壽 찬
직장공휘공보〈直長公諱公輔〉대사헌大司憲 하임헌河任憲 찬
이재공휘장하〈履齋公諱章夏〉대사성大司成 병집秉輯 찬
도정공휘도보〈都正公諱道輔〉문간 영의정文簡領議政 이의현李宜顯 찬
목사공휘진선〈牧使公諱鎭宣〉이조판서吏曹判書 윤치수尹致秀 찬
우당공휘동면〈藕堂公諱東冕〉이조판서吏曹判書 윤용구尹用求 찬
목사공휘원영〈牧使公諱原永〉종제從弟 문충文忠 영의정 인영仁永 근찬
부정공휘상강〈副正公諱尙綱〉종자從子 충정忠定 우의정右議政 경璥 근찬
증정경부인성주이씨〈贈貞敬夫人星州李氏牧使公尙紀配〉자子 경璥근찬
작농공휘정구〈勺農公諱鼎九〉백아白牙 김창현金彰顯 찬
하서공휘경〈荷棲公諱璥自銘〉충정忠定 규장각제학·우의정 경璥 자찬自撰
증정부인완산이씨〈贈貞夫人完山李氏花川公濈后配〉예조판서 이재곤李載昆찬
부위공휘여송〈副尉公諱汝松〉정승모鄭升謨 근찬
◦묘지墓誌(11점)
교리공휘수익묘지명〈校理公諱守翼墓誌銘〉대제학大提學 신흠申欽 찬
풍안군휘흡묘지명〈豐安君諱潝墓誌銘〉문경 영의정文敬領議政 정호鄭澔 찬
둔암공휘수묘지명〈遯菴公諱脩墓誌銘〉3종질三從姪 진구鎭球 찬
둔암공휘수묘지명〈遯菴公諱脩墓誌銘〉3종질三從姪 진구鎭球 찬
응교공휘상건묘지명〈應敎公諱尙健墓誌銘〉재종질再從姪 우의정 경璥 찬
증정경부인장흥임씨〈贈貞敬夫人長興任氏牧使公尙紀配〉남男 경璥 근찬
증정경부인장흥임씨〈贈貞敬夫人長興任氏尙紀配 塋域標誌〉남男 경璥 근지
성재공휘병현〈成齋公諱秉鉉墓誌銘〉문헌文獻 예조판서 김상현金尙鉉 찬
증정경부인연안이씨〈贈貞敬夫人延安李氏荷棲公璥配〉부군夫君 경璥 찬
황간공휘확〈黃澗公諱㴶墓誌銘〉문충文忠 영의정 남구만南九萬 찬
정랑공휘수인〈正郎公諱守寅墓誌銘〉문정文貞 예조판서 신흠申欽 찬
◦묘표墓表(35점)
한산군휘온지〈漢山君諱溫之〉
독암공휘종경〈獨菴公諱宗敬〉이조판서吏曹判書 박필주朴弼周 찬
송창공휘종운〈松窓公諱宗耘〉족후손族後孫 남권南權 근찬
증집의공휘일〈贈執義公諱溢〉후손後孫 흥구興九 근찬
교위공휘기운〈校尉公諱起耘〉후손後孫 흥구興九 경식
통산공휘기운〈筒山公諱震輔〉9대손九代孫 남충南忠 경식
창강공휘속〈滄江公諱涑〉우암 송시열尤菴宋時烈 찬
교리공휘수익〈校理公諱守翼〉문충 동양위文忠東陽尉 신익성申翊聖 찬
풍안군휘흡묘표음기〈豐安君諱潝墓表陰記〉우암 송시열尤菴宋時烈 찬
풍창군휘백운〈豐昌君諱伯耘〉7세손七世孫 장하章夏 근지
죽석공휘돈〈竹石公諱暾〉문충 좌의정文忠左議政 김종수金鍾秀 찬
영호공휘엄〈永湖公諱曮〉이조판서吏曹判書 김이양金履陽 찬
가정공휘진관〈柯汀公諱鎭寬〉불초소남不肖少男 영의정 인영仁永 근찬
석애공휘만영〈石厓公諱萬永〉제弟 문충文忠 영의정 인영仁永 근찬
유하공휘병구〈游荷公諱秉龜〉문충文忠 영의정 인영仁永 근찬
소하공휘성하〈小荷公諱成夏〉문간文簡 예조판서 한장석韓章錫 근찬
운석공휘인영〈雲石公諱寅永〉불초남不肖南 효헌孝獻 병조판서 병기秉夔찬
소석공휘병기〈小石公諱秉夔〉예조판서禮曹判書 홍재철洪在喆찬
정경부인전주이씨〈貞敬夫人全州李氏小石公秉夔配〉불초손不肖孫 동윤東潤찬
혜인공휘영하〈惠人公諱寧夏〉불초남不肖男 예조판서禮曹判書 동윤東潤찬
정경부인전주이씨〈貞敬夫人全州李氏惠人公寧夏配〉숙명70년사淑明七十年史
혜석공휘영하〈惠石公諱東潤〉불초남不肖男 농학박사 중구重九 찬
증참의공휘진의〈贈叅議公諱鎭宜〉이조판서吏曹判書 김이양金履陽 찬
효정공휘병준〈孝貞公諱秉駿〉문헌文獻 이조판서吏曹判書 김학성金學性 찬
판서공휘경하〈判書公諱敬夏〉재종질再從姪 예조판서禮曹判書 동윤東潤찬
정랑공휘계〈正郎公諱棨〉불초중남不肖仲男 진령鎭寜 찬
목사공휘상기〈牧使公諱尙紀〉불초남不肖男 예조판서 환瑍 근찬
일곡공휘득영〈日谷公諱得永〉손남孫男 이조판서 봉하鳳夏 근찬
도정공휘득영〈都正公諱瑗〉남男 양근군수楊根郡守 진익鎭翊 근찬
황간공휘확〈黃澗公諱㴶〉문정文正 우암 송시열尤菴宋時烈 찬
청도공휘종돈〈淸道公諱宗敦〉13세대十三代孫 준구駿九 근찬
증좌승지공휘정량〈贈左承旨公諱廷樑〉14세손十四世孫 남중南重 근찬
귀로헌공휘수헌〈歸老軒公諱守憲〉족손族孫 이조판서 종영鐘永찬
증참의공휘탁〈贈叅議公諱濯〉족후손族後孫 남권南權 근찬
호군공휘성하〈護軍公諱星夏〉사증손嗣曾孫 남윤南胤 근찬
◦유사遺事(22점)
좌랑공휘안평〈佐郞公諱安平〉
설죽공휘국빈〈雪竹公諱國賓〉유시遺詩
한평군휘익정〈漢平君諱益貞〉
- 유사遺事
- 무오사화설戊午史禍說
진사공휘팽〈進士公諱彭〉
- 유사遺事 출처: 풍안군기豐安君記 실록
- 여지도부輿地圖賦
독암공휘종경〈獨菴公諱宗敬〉
- 유사遺事 3건 출처: 증손 풍안군豐安君 흡潝 기록
- 유사遺事 5건
사예공휘정추〈司藝公諱廷樞〉소疏 온양군수시구폐소溫陽郡守時救弊疏
사인공휘정기〈舍人公諱廷機〉
- 유저遺著 파연기破硯記 출처: 풍안군豐安君 흡潝 기실록
- 유사遺事 12건 출처: 풍안군豐安君 흡潝 기실록記實錄
풍옥헌공휘수륜〈風玉軒公諱守倫〉
- 풍옥헌서風玉軒序 약산거사藥山居士 김종남金終男 서
- 유사遺事 5건 출처: 풍안군豐安君 흡潝 기실록記實錄
처사공휘척〈處士公諱滌〉
- 유사遺事 만회당晩悔堂 이유겸李有謙 소기수쇄록所記搜瑣錄
- 유사遺事 종제從弟 풍안군豐安君 흡潝 소기
창강공휘속〈滄江公諱涑〉
- 유저遺著
제조고사인공파연기후題祖考舍人公破硯記後
일가필적후一家筆蹟後
수묵화水墨畵
청독진기聽讀晋記
강초당조고정선자판기姜草堂祖考旌善懸板記
- 유사遺事 및 추록追錄 8건 출처: 우암 송시열尤菴宋時烈 송자대전
- 유사遺事 1건 출처: 농암 김창협農巖金昌協 농암연보農巖年譜
- 유사遺事 奉寄金堤趙使君涑三絶 3건 출처: 택당 이식澤堂李植 택당집
교리공휘수익〈校理公諱守翼〉
- 유사遺事 13건 출처: 풍안군豐安君 흡潝 기실록記實錄
증좌랑공휘약〈贈佐郞公諱瀹〉유사遺事 2건 제弟 풍안군 흡豐安君潝 소기所記
풍안군휘흡〈豐安君諱潝〉유사遺事
- 일기日記 천계계해일기天啓癸亥日記
이재공휘장하〈履齋公諱章夏〉한말 순국지사
- 유저遺著 포경경고사잠抱經枯死箴, 절필운絶筆韻
- 유사遺事 11건
도정공휘도보〈都正公諱道輔〉쌍문동구택기雙門洞舊宅記 손남 경璥 찬
목사공휘상기〈牧使公諱尙紀〉
- 영역표지塋域標誌 남男 우의정右議政 경璥 근지
- 묘지기墓地記 남男 우의정右議政 경璥 찬
작농공휘정구〈勺農公諱鼎九〉 동아일보기사(1925년 5월 30·31일기사)
우천공휘완구행록〈藕泉公諱琬九行錄〉
- 유저遺著 黨員同志들에게 告하는 말, 國際代表들에게 낸 書翰
- 유사遺事 추모기追慕記 딸 규은圭恩 읍서
하서공휘경〈荷棲公諱璥〉유저遺著 창강선생묵매발滄江先生墨梅跋
정랑공휘수인〈正郎公諱守寅〉유사遺事 4건 종자從子 흡潝 소기所記
화천공휘즙〈花川公諱濈〉후사後事 후손後孫 관하觀夏 근지謹誌
헌납공휘수준〈獻納公諱守準〉
- 유사遺事 임진거의시사적壬辰擧義時事蹟 출정기록出正氣錄
◦제문祭文(4점)
한산군휘온지〈漢山君諱溫之〉 만시 점필재 김종직(佔畢齋金宗直)
작농공휘정구〈勺農公諱鼎九〉 만시 독립운동가 고광 이세영(古狂李世永)
하서공휘경〈荷棲公諱璥〉치제문致祭文 2건 정조대왕正祖大王
만오당공휘여수〈晩悟堂公諱汝秀〉사제문賜祭文 錄
◦정려旌閭(6점)
효자孝子: 처사공휘척〈處士公諱滌〉
- 정려시예조계사旌閭時禮曹啓辭
효자孝子: 하서공휘경〈荷棲公諱璥自銘〉
- 충정공忠定公 조경趙璥 치제문(忠定公趙璥致祭文) 정조대왕
- 판부사 조경趙璥의 죽음을 애도한 하교(判府事趙璥隱卒敎) 정조대왕
∘삼세사정려三世四旌閭
충신忠臣: 귀로헌공휘수헌〈歸老軒公諱守憲〉
충신忠臣: 증예조참의공휘탁〈贈禮曹叅議公諱濯〉장자長子
열녀烈女: 증정부인완산이씨〈贈貞夫人完山李氏〉귀로헌공계배歸老軒公繼配
효자孝子: 참봉공휘여학〈參奉公諱汝㰒〉장손長孫
- 귀로헌공휘수헌〈歸老軒公諱守憲神道碑銘〉성균관장 박성수朴性洙 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