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형록(대제학)
문형록文衡錄 |
이 름 |
호號 |
직 위 |
시 대 |
파별派別 |
조복양趙復陽 |
송곡松谷 |
이판吏判, 문형 |
현종 |
평장사공파平章事公派 |
조문명趙文命 |
학암鶴巖 |
좌 의 정, 문형 |
영조 |
회양공청교파淸橋派 |
조인영趙寅永 |
운석雲石 |
영 의 정, 문형 |
헌종 |
회양공한평군파韓平君派 |
조병현趙秉鉉 |
성제成齊 |
이판吏判, 문형 |
헌종 |
회양공한평군파韓平君派 |
대제학大提學과 문형文衡의 차이?
조선시대 홍문관弘文館과 예문관藝文館에 둔 정2품 벼슬로 1401년(태종 1)에 대학사大學士를 고친 이름이다. 조선 전기에는 예문관에만 대제학을 두었으나, 1420년(세종 2)에는 집현전集賢殿에 대제학을 두었고, 1456년(세조 2) 집현전을 홍문관으로 고쳐 그대로 대제학을 두었다.
온 나라의 학문을 바르게 평가하는 저울이라는 뜻으로‘문형文衡’이라 칭하기도 한 대제학은 학문의 권위가 높다고만 해서 되는 관직이 아니었다. 문과 대과 급제자 출신의 문신文臣으로 정조시대 폐지된 제도이지만 임금의 특명으로 휴가를 받아 공부하던 호당湖堂 출신에게 기회를 주었다. 또한, 문형이라는 별칭을 얻을 수 있는 사람은 한정되어 있었는데, 반드시 홍문관 대제학과 예문관 대제학 및 성균관成均館의 대사성大司成, 지성균관사知成均館事 등 나라 전체의 학문 관련 세 가지 최고 직위를 모두 겸직하는 경우에 한하였다. 이 3관館의 최고 책임자로서 관학계官學界를 공식적으로 대표하는 직위이므로 학자로서 최고의 명예로 여겼으며, 품계品階는 판서와 동등한 정이품正二品이었지만 삼정승이나 육조六曹 판서보다도 높이 대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