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문록(옥당록)

홍문록(옥당록)

글자작게 글자크기 글자크게

ma01.png 홍문록弘文錄 또는 옥당玉堂

 

이 름

직 위

시 대

파별派別

조수익趙守翼

운애雲厓

교   리

선조

회양공한평군파韓平君派

조 즙趙 濈

화천花川

형조참의

선조

회양공한평군파韓平君派

조 익趙 翼

포저浦渚

좌  의  정

인조

평장사공파平章事公派

조복양趙復陽

송곡松谷

대  제  학

효종

평장사공파平章事公派

조상우趙相愚

동강東岡

우  의  정

숙종

회양공청교파淸橋派

조지겸趙持謙

오재迂齋

부  제  학

숙종

평장사공파平章事公派

조익명趙翼命

독암獨庵

대  사  간

숙종

회양공청교파淸橋派

조석명趙錫命

묵소墨沼

형조판서

숙종

회양공청교파淸橋派

조원명趙遠命

 

좌  참  찬

영조

회양공청교파淸橋派

조상경趙尙絅

학당鶴塘

병조판서

영조

회양공한평군파韓平君派

조상건趙尙健

 

응   교

숙종

회양공한평군파韓平君派

조문명趙文命

학암鶴巖

좌  의  정

영조

회양공청교파淸橋派

조최수趙最壽

죽천竹泉

지의금부사

영조

회양공청교파淸橋派

조현명趙顯命

귀록歸鹿

영  의  정

영조

회양공청교파淸橋派

조상경趙尙慶

하곡霞谷

승   지

영조

회양공한평군파韓平君派

조적명趙迪命

 

예조참판

영조

회양공청교파淸橋派

조상명趙尙命

 

대  사  간

영조

회양공한평군파韓平君派

조한위趙漢緯

만운晩雲

대  사  간

영조

평장사공파平章事公派

조재민趙載敏

 

지중추부사

영조

회양공청교파淸橋派

조 돈趙 暾

죽석竹石

이조판서

영조

회양공한평군파韓平君派

조 엄趙 曮

영호永湖

이조판서

영조

회양공한평군파韓平君派

조득영趙得永

일곡日谷

이조판서

영조

회양공한평군파韓平君派

조만원趙萬元

 

형조판서

순조

평장사공파平章事公派

조종영趙鐘永

북해北海

이조판서

순조

회양공한평군파韓平君派

조종진趙宗鎭

 

좌  승  지

순조

회양공청교파淸橋派

조용화趙容和

청소晴沼

형조판서

순조

회양공청교파淸橋派

조병헌趙秉憲

 

호조판서

순조

회양공한평군파韓平君派

조병구趙秉龜

 

이조판서

순조

회양공한평군파韓平君派

조학년趙鶴年

 

이조판서

헌종

평장사공파平章事公派

조구하趙龜夏

 

예조판서

헌종

회양공한평군파韓平君派

조인영趙寅永

운석雲石

영  의  정

순조

회양공한평군파韓平君派

조성하趙成夏

소하小荷

이조판서

헌종

회양공한평군파韓平君派

조영하趙寧夏

혜인惠人

판돈령부사

고종

회양공한평군파韓平君派

조경하趙敬夏

 

지중추부사

고종

회양공한평군파韓平君派

조병철趙秉轍

 

예조판서

고종

회양공한평군파韓平君派

조병필趙秉弼

간산幹山

판돈령사사

고종

회양공청교파淸橋派

조동필趙東弼

 

이조참판

고종

회양공한평군파韓平君派

조병익趙秉翊

 

시강원첨사

고종

회양공청교파淸橋派

조동면趙東冕

 

이조판서

고종

회양공한평군파韓平君派

 

옥당玉堂 또는 홍문록弘文錄이란?

옥당 또는 홍문록이란 홍문관원의 후보로 결정된 사람 또는 홍문관원의 후보자로 간선하는 일을 가리키며, 홍문관·이조·의정부(議政府 : 廟堂)의 투표圈點를 통해 다득점자의 순으로 결정되었다. 홍문관원에 결원이 생기면 홍문록 중에서 낙점落點된 사람으로 충원하므로 홍문관원이 되기란 어려운 일이었다. 홍문관은 청요직으로서 관원이 되려면 지제교知製敎가 될만한 문장과 경연관經筵官이 될만한 학문과 인격이 있어야 함은 물론 가문에 허물이 없어야 했고, 우선 홍문록에 올라야 한다..

옥당玉堂이라고도 하였다. ≪경국대전≫에 규정된 홍문관의 직무는 궁중의 경적經籍 관리와 문한의 처리 및 왕의 자문에 응하는 것이었다. 홍문관원은 모두 경연관을 겸했고, 부제학에서 부수찬까지는 지제교를 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