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씨와 본관

성씨와 본관

글자작게 글자크기 글자크게

ma01.png 성씨姓氏와 본관本貫

 

성씨란 한 인물을 시조始祖로 하여 대대로 이어 내려오는 단일 계통系統의 혈연血緣 집단이다. 오늘날에는 성姓과 씨姓의 구분이 없어져 성씨姓氏의 씨는 성姓을 높여서 부르는 말로 쓰인다. 하지만 초기 발생 단계에서 성과 씨는 엄격히 구분되는 개념이었다.

 

한국의 성씨 제도는 중국의 영향을 받았는데, 중국에서는 성姓이 먼저 나오고, 뒤이어 씨氏의 구별이 나타났다. 성은 ‘여자[女]가 낳은[生] 자녀’라는 글자의 의미처럼 모계 씨족사회에서 모계母系의 혈족血族을 구분하기 위해 쓰였다. 때문에 ‘희姬·사姒·강姜·영嬴’등 초기의 성姓들에는‘계집 녀女’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성姓은 부계사회父系社會가 되며 부계父系 혈통을 나타내는 것으로 쓰인다. 종족宗族에 따라 자신들의 거주지나 숭배물 등을 성姓으로 삼기도 하였다. 사회가 발달하며 종족의 인구가 늘고 거주 지역이 확산하며, 하나의 성姓에서 갈라진 지파支派는 새로운 거주지나 조상의 이름 등을 따서 자신들을 구별하는 칭호를 사용하기 시작한다. 이처럼 성姓에서 갈라진 계통을 구별하는 칭호를 씨氏라 한다..

 

성姓과 씨氏의 구별은 하夏·상商·주周 3대와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BC 770~BC 221)에 이르기까지 뚜렷하게 나타난다. 당시 귀족들은 분봉分封 받은 국읍國邑의 지명이나 관직, 조상의 자字나 시호諡號, 작위爵位, 거처居處 등을 씨氏로 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다 보니 부자 사이에도 성은 같지만, 씨가 다른 경우가 생겼고, 성이 다른데도 씨는 같은 경우도 나타났다. 그래서 성이 같으면 결혼하지 않았고, 씨가 같아도 성이 다르면 결혼을 할 수 있었다.

 

성姓은 이렇게 출생의 계통을 표시하는 것으로 모계母系 시대에는 여계女系의 혈통을, 부계父系 시대에는 남계男系의 혈통을 나타내는 표지이다. 『좌전左傳』에 “천자건덕 인생이사성(天子建德 因生以賜姓)”이라 한 것처럼, 천자가 유덕한 사람을 세워 제후諸侯를 봉할 때 그 조상의 출생지로써 성을 주었다고 한다.

 

씨氏는 분화된 혈통(姓)의 각각의 지연地緣 등을 표시하는 표지인 것이 분명하므로 그 본원적 의미는 성의 분파를 뜻한다. 그러므로 중국의 고전에서 말하는 성姓은 혈통의 연원을 표시하는 것으로 역시 우리의 성이라는 것에 해당하며, 씨氏란 같은 성에서도 소유한 지역으로서 분별한 것이므로 우리의 본관本貫에 해당된다.

 

풍양 조씨·경주 김씨·전주 이씨·밀양 박씨 등의 씨자氏字에는 존칭적인 의미도 잠재하여 있지만, 본관本貫을 표시하는 의미가 포함되어 있다. 씨는 또한 조선시대 양반의 처妻에 대해 이름을 대신하여 높임말 칭호로도 사용되었다.

 

어떻든 성은 그 사람이 태어난 부계혈통의 표지標識이기 때문에, 그 사람의 신분이나 호적에 변동이 생겨도 혈통이 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평생 바꾸지 않는 것이 우리나라 고래의 관습법이다. 그러나 2005년도 개정된 「민법」에 의하면“자는 부의 성과 본을 따른다. 다만, 부모가 혼인신고 시 모의 성과 본을 따르기로 협의한 경우에는 모의 성과 본을 따른다(781조).”라고 규정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