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장사공파

평장사공파

글자작게 글자크기 글자크게

ma01.png 평장사공파平章事公派

 

평장사공파의 행장行狀은 11점이며, 묘도문墓道文은 총 34점이다. 좀 더 상세히 분류하면 행록行錄 1점, 시장諡狀 1점, 가장家狀 3점, 행장行狀 6점, 신도비神道碑 7점, 묘갈명墓碣銘 3점, 묘표墓表 14점, 묘지명墓誌銘 10점, 제문祭文 9점, 유사遺事 8점, 정려旌閭 1점이 있다. 총 63점이다. 평장사공파는 조선조에 포저공浦渚公 익翼이라는 최고의 학자를 배출한 가문으로 당대 손꼽히는 문사文士의 글이 많은 편이다. 그중에서도 특히 정조대왕正祖大王이 수원 능행차陵行次 시 명고서원明皐書院에 치제致祭를 하며 올린 제문祭文이 홍재전서弘齋全書에 담겨 있다. 이 제문의 일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한 서원書院에 삼대三代를 제향한 것은 / 一院三世

듣지도 보기도 힘든 일이니 / 聞稀見刱

재상宰相의 숙덕宿德이었으며 / 台扉1)宿德

예원藝苑의 종장이었네 / 藝苑2)宗匠

 - 중간 생략 -

손자孫子가 함께 배향되니 / 有孫配食

소탈한 성품으로 명망이 있었는데 / 雅望疎襟

무엇으로 나의 뜻을 부치려나 / 何以寄意

한 편의 제문과 석 잔의 술일세 / 文一酌三

여기서 삼대三代란? 포저 익(浦渚 翼), 송곡 복양(松谷 復陽), 오재 지겸(迂齋 持謙)으로 이어지는 삼대를 모신 경기도 매송梅松에 있던 사액서원賜額書院을 뜻한다. 그러나 고종高宗 때에 대원군大院君 주도로 내려진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毁撤되어 아직도 복원하지 못한 덩그러니 주춧돌만 남아 있는 부끄러운 후손들의 유적지遺蹟地이다.

 

☞ 행장과 묘도문

 ◦행장行狀(11점)  

증의정공휘영중행장〈贈議政公諱瑩中行狀〉불효고不孝孤 문효文孝 좌의정 익翼찬

포저공휘익〈浦渚公諱翼諡狀〉문인門人 문정文正 동춘당 송준길同春堂宋浚吉찬

포저공휘익〈浦渚公諱翼行狀〉문순文純 좌의정 현석 박세채玄石朴世采찬

송곡공휘복양〈松谷公諱復陽行錄〉불효고不孝孤 부제학 오재 지겸迂齋持謙찬

정부인덕수이씨〈貞夫人德水李氏松谷公復陽配〉불효고不孝孤 부제학 지겸持謙찬

송곡공휘복양〈松谷公諱復陽行狀〉문성文成 좌의정 명재 윤증明齋尹拯 찬

통덕랑공휘지형〈通德郞公諱持衡行狀〉백씨伯氏 부제학 지겸持謙찬

오재공휘지겸〈迂齋公諱持謙家狀〉불초손不肖孫 증이참贈吏叅 한보漢輔찬

오재공휘지겸〈迂齋公諱持謙行狀〉부제학 체천 오수채棣泉吳遂采 찬

문정공휘만원〈文靖公諱萬元家狀〉불효고不孝孤 이조판서 학년鶴年찬

문헌공휘학년〈文憲公諱鶴年家狀〉제弟 증이조판서 규년奎年찬

 

 ◦신도비神道碑(7점)

풍양군공휘경〈豐壤君諱儆神道碑銘〉종손從孫 문효文孝 좌의정 익翼찬

증의정공휘영중〈贈議政諱瑩中墓碑銘〉문정文正 좌의정 청음 김상헌淸陰金尙憲찬

포저공휘익〈浦渚公諱翼神道碑銘〉문정文正 좌의정 우암 송시열尤菴宋時烈찬

송곡공휘복양〈松谷公諱復陽神道碑銘〉충효忠孝 영의정 귀록 조현명歸鹿趙顯命찬

오재공휘지겸〈迂齋公諱持謙神道碑銘〉효강孝剛 영의정 오천 이종성梧川李宗城찬

문정공휘만원〈文靖公諱萬元神道碑銘〉문충文忠 영의정 경산 정원용經山鄭元容찬

문헌공휘학년〈文憲公諱鶴年神道碑銘〉문정文貞 대제학 신게 이돈우莘憩李敦宇찬

 

 ◦묘갈명墓碣銘(3점)

도산공휘내양〈道山公諱來陽〉문절文節 대학자 서계 박세당西溪朴世堂찬

현감공휘시중〈縣監公諱時中〉종질從姪 문효文孝 좌의정 익翼찬

증이참공휘한보〈贈吏叅公諱漢輔〉예조판서 지암 이철보止菴李喆輔 찬  

 

 ◦묘지墓誌(9점)

우암공휘인규〈寓菴公諱仁奎墓誌銘〉문경文敬 모재 김안국慕齋 金安國찬

증정경부인해평윤씨〈贈貞敬夫人海平尹氏墓誌議政公瑩中配〉불초고 익翼찬

포저공휘익〈浦渚公諱翼墓誌銘〉문인門人 문경文敬 미촌 윤선거美村尹宣擧찬

송곡공휘복양〈松谷公諱復陽墓誌〉외손外孫 부제학 체천 오수채棣泉吳遂采 찬

도산공휘내양〈道山公諱來陽墓誌〉망아진사亡兒進士  포저공浦渚公 찬

도산공휘내양〈道山公諱來陽墓誌〉외손外孫 효간孝簡 경은부원군 김주신金柱臣근찬

생원공휘현양〈生員公諱顯陽墓誌〉망아생원亡兒生員  포저공浦渚公 찬

진사공휘명적〈進士公諱命迪墓誌銘〉동부승지 경암 윤동수敬菴尹東洙찬

통덕랑공휘명형〈通德郞公諱命亨墓誌銘〉표제表弟 경은부원군 김주신金柱臣 찬

증정부인청송심씨〈贈貞夫人靑松沈氏墓誌銘迂齋公持謙配〉망실亡室 지겸持謙찬

 

 ◦묘표墓表(14점)  

남원공휘계팽〈南原公諱季砰〉7대손七代孫 문간文簡 대제학 복양復陽근기

한풍군휘안국〈漢豐君諱安國〉증손曾孫 문효文孝 좌의정 익翼찬   

증찬성공휘간〈贈贊成公諱侃〉손남孫男 문효文孝 좌의정 익翼찬      

증참판공휘현범〈贈叅判公諱賢範〉현손玄孫 문효文孝 좌의정 익翼찬   

증영의정공휘영중〈贈領議政諱瑩中〉외현손外玄孫 경은부원군 김주신金柱臣근찬

포저공휘익〈浦渚公諱翼〉문충文忠 영의정 약천 남구만藥泉南九萬 찬

포저공휘익〈浦渚公諱翼〉추기追記, 문익文翼 좌의정 서명균徐命均 찬

포저공휘익〈浦渚公諱翼〉문정文正 좌의정 우암 송시열尤菴宋時烈 찬

단양공휘진양〈丹陽公諱進陽〉외증손外曾孫 동부승지 경암 윤동수敬菴尹東洙찬

송곡공휘복양〈松谷公諱復陽〉문정文靖 좌의정 쌍계 이복원雙溪李福源 찬

통덕랑공휘지형〈通德郞公諱持衡〉여서女婿 대사간 이세면李世勉 찬

정랑공휘지헌〈正郎公諱持憲〉생질甥姪 경은부원군 김주신金柱臣 찬

학생공휘명우〈學生公諱命佑〉문성文成 좌의정 명재 윤증明齋尹拯 찬

증참의공휘명인〈贈叅議公諱命仁〉표제表弟 경은부원군 김주신金柱臣 찬

 

 ◦유사遺事(22점)

우암공휘인규〈寓菴公諱仁奎〉유사遺事 愼副正思獻  월정만필月汀漫筆

동추공휘현범〈同樞公諱賢範〉유시遺事  爲慶州府尹  송와잡설松窩雜說

한풍군휘인규〈漢豐君諱安國〉유사遺事 丈人趙安國  월정만필月汀漫筆   

풍양군공휘경〈豐壤君諱儆〉유사遺事

-행주승첩幸州勝捷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제16권

-갑진 6월빈청甲辰六月賓廳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제17권

-훈련도감(訓鍊都監)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별집제8권

포저공휘익〈浦渚公諱翼〉유사遺事

-포저조상공철상구황비기浦渚趙相公鐵山救荒碑記 송준길宋浚吉 同春堂集

-효행孝行   조야집요朝野輯要

-서찰書札 사부師傅에게   해평부원군海平府院君 월정윤근수(月汀尹根壽)

-서찰書札 상사上司에게   완평부원군完平府院君 오리이원익(梧里李元翼)

-서찰書札 사우師友에게    문정文正 청음 김상헌(淸陰金尙憲)

-서찰書札 붕우朋友에게   완성부원군完城府院君 지천최명길(遲川崔鳴吉)

-서찰書札 문도門徒에게    문경文敬 미촌 윤선거(美村尹宣擧)

명고서원〈明皐書院〉유사遺事

-사원祠院  수원도호부水原都護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명고서원明皐書院 중수기重修記    약천 남구만藥泉南九萬  약천집藥泉集

도산공휘내양〈道山公諱來陽〉遺詩

-기정寄呈 宋明甫浚吉尊兄經案   동춘당同春堂에게 보낸 서간書簡

-시詩 送趙長吉來陽    이조판서  구당 박장원(久堂朴長遠)

-시詩 次趙長吉來陽 見贈韻  학자  동명 정두경(東溟鄭斗卿)

-시詩 酒席 趙長吉來陽 呼韻  대제학  창주 김익희(滄洲金益熙)

-서序 趙長吉來陽遺稿序  학자  동명 정두경(東溟鄭斗卿)

대사간공휘한위〈大司諫公諱漢緯〉

-시詩  姨弟趙公西漢緯  충문忠文 북헌 김춘택(北軒金春澤)

-시詩  次公西漢緯絶句  충문忠文 북헌 김춘택(北軒金春澤)

 

 ◦제문祭文(9점)  

용헌공휘세영〈慵軒公諱世英〉 만시 서천록西遷錄 회재 이언적(晦齋李彦迪)  

풍양군공휘경〈豐壤君諱儆〉   제문祭文  좌찬성 월정 윤근수(月汀尹根壽)

증영의정공휘영중〈贈領議政諱瑩中〉만시

-충익忠翼 영의정 정태화鄭太和

-문정文貞 대제학 김익희金益熙

포저공휘익〈浦渚公諱翼〉문효공개장만文孝公改葬挽 윤증尹拯 明齋遺稿

명고서원〈明皐書院〉유사遺시(詩)

-사액치제문賜額致祭文 현종顯宗 약천 남구만藥泉南九萬 진제進製

-치제문致祭文  정조대왕正祖大王 홍재전서弘齋全書

통덕랑공휘지형〈通德郞公諱持衡〉만시挽詩 동춘당 송준길(同春堂宋浚吉)

진사공휘한사〈進士公諱漢師〉 만시挽詩  실학자 성호 이익星湖李瀷

대사간공휘한위〈大司諫公諱漢緯〉 만시挽詩 양명학자 저촌 심육(樗村沈錥)

문정공휘만원〈文靖公諱萬元〉卒判書趙萬元致祭 순조純祖 박영원(朴永元進製)

 

 ◦정려旌閭(1점)

열녀烈女: 증찬성공휘간 여〈贈贊成公諱侃 女〉

- 동국신속삼강행실도東國新續三綱行實圖 5집, 열녀도 제5권, 이상규李相揆

 

 

<>

 1) 태비(台扉)는 태각(台閣)의 문이란 뜻으로 나라를 다스리는 최고의 관부(官府)인 의정부(議政府)를 가리킨다.

 2) 문장을 짓는 곳을 말하는데, 흔히 문단(文壇)을 뜻하는 말로 쓰인다. 월정 윤근수 선생은“청백간손(淸白簡遜)하고 문장이 고아하며 필법이 주경(遒勁)하여 예원(藝苑)의 종장(宗匠)이라 일컬어졌다.”라고 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