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양공 2子 사옹원정공 개평파
회양공 2子 사옹원정공 개평파(淮陽公 二子 司饔院正公 開平派) |
회양공 사옹원정공(휘개평)파의 행장行狀은 43점이며, 묘도문墓道文은 총 128점이다. 좀 더 상세히 분류하면 행록行錄 8점, 시장諡狀 5점, 가장家狀 6점, 행장行狀 24점, 신도비神道碑 8점, 묘갈명墓碣銘 26점, 묘표墓表 40점, 묘지墓誌 54점 이중 묘지명墓誌銘 32점이며, 제문祭文 3점, 유사遺事 26점, 정려旌閭 7점이 있다. 총 207점이다. 조선의 명현名賢은 지나친 미화 및 그릇된 평가를 막기 위해 스스로 묘도문을 짓는 경우가 있다. 이곳에서도 자찬自撰한 묘지 2점과 묘표 1점을 발견할 것이다. 영조시대 탕평책을 주도했던 최고의 경세가經世家 귀록공歸鹿公 현명顯命의 묘표가 바로 그것이다. 공은 스스로“소년 시절 유자儒者의 학문을 하려고 했으나 결국 길을 잃어 이룬 것이 없다.”라고 겸허한 자평을 하고 있다. 종증손자인 금탄공錦灘公 운표雲杓의 묘지 명銘은 더 담백한 편이다.
재주는 어찌 그리 노둔하고/ 才何鹵也
성질은 어찌 그리 졸렬했던가!/ 性何拙也
문장에 성벽(性癖:좋지 못한 버릇)이 있어서인가/ 癖於文章
보불黼黻1)의 글솜씨를 지니지도 못했고 /無黼黻之手
공명功名에 의지를 갖기는 했으나/ 志于功名
경세제민經世濟民의 책략도 없었구나/ 而無經濟之術
- 이하 생략 -
명가名家의 후손다운 인품이다. 청교파靑橋派의 수많은 인재 배출도 이러한 겸손함과 냉철한 자기 성찰에서 나온 듯하다. 그 외에도 영조英祖가 직접 썼다는 며느리 효순왕후孝純王后를 위한 어제묘지御題墓誌가 눈에 띈다. 그리고 그의 아버지인 학암공鶴巖公의 문묘 배향 교서이다.
☞ 행장과 묘도문
◦행장行狀(43점)
수죽공휘방직행장〈脩竹公諱邦直行狀〉 홍문관교리 최유지崔攸之 찬
낙수공휘광형행장〈樂叟公諱光亨行狀〉 문인門人 학자 구정래具鼎來 찬
지족당공휘시채가장〈知足堂公諱始采家狀〉불초고不肖孤 장령 성복聖復 찬
유인진주강씨〈孺人晉州姜氏學生公七夏后配家傳〉손남孫男 선구璇九 찬
퇴수암공휘성복시장〈退修菴公諱聖復諡狀〉문정文貞 영의정 김익金熤 찬
지평공휘성일전〈持平公諱聖一傳〉 광주 정구석鄭龜錫 술述
불요헌공휘규진행장〈不撓軒公諱圭鎭行狀〉 7세손 남정南貞 근찬
난재공휘태징행장〈蘭齋公諱泰徵行狀〉 족제族弟 구명龜命찬 현명顯命追識
성암공휘준하행장〈誠菴公諱俊夏行狀〉 문인족손門人族孫 남철南哲 근찬
진사공휘상정유장〈進士公諱相鼎遺狀〉 질자姪子 이수頤壽 근장
진사공휘상정유장〈進士公諱相鼎遺狀補錄〉불초고不肖孤 응교 대수大壽 근서
증정경부인남양홍씨〈贈貞敬夫人南陽洪氏進士公相鼎配家狀〉고애손 경명景命 근장
백분당공휘인수〈白賁堂公諱仁壽行狀〉호조참판 송징은宋徵殷 찬
증정경부인광주김씨〈贈貞敬夫人光州金氏白賁堂公仁壽配行狀〉고애손 경명景命 근장
귀락정공휘경명〈歸樂亭公諱景命行狀〉예조판서 송성명宋成明 찬
숙부인안동김씨〈숙부인안동김씨歸樂亭公景命配家狀〉부 경명景命찬
학생공휘재망〈學生公諱載望行狀〉가형家兄 재건載健찬
敎 英宗大王廟庭配享臣左議政贈領議政趙文命書(학암공문묘배향 교서)
손재공휘재호〈損齋公諱載浩傳〉은파산고恩坡散稿 심낙수沈樂洙저
청량헌공휘재호〈聽凉軒公諱九鎭傳〉 계조季祖 귀록산인歸鹿山人 술述
청소공휘용화시장〈晴沼公諱容和諡狀〉 충문忠文 영의정 이유원李裕元찬
지와공휘대수가장〈止窩公諱大壽家狀〉 고애자孤哀子 석명錫命 찬
묵소공휘대수행장〈墨沼公諱錫命行狀〉 불초손不肖孫 홍진弘鎭 근서
창암공휘홍진행장〈牕巖公諱弘鎭行狀〉 불초남不肖男 운표雲杓 근장
정부인동래정씨〈貞夫人東萊鄭氏牕巖公弘鎭配家狀〉불초남 운표雲杓 근장
금탄공휘운표행장〈錦灘公諱雲杓行狀〉 불초남不肖男 문화文和 근찬
증숙부인경주이씨〈贈淑夫人慶州李氏錦灘公雲杓配行狀〉불초남 문화文和 근찬
취병공휘형〈翠屛公諱珩諡狀〉문경文敬 영의정 이여李畲 찬
정경부인사천목씨〈貞敬夫人泗川睦氏翠屛公珩配家狀〉불초남 상개相槩근찬
증정부인밀양박씨〈贈正夫人密陽朴氏鎭川公相抃配行狀〉남男 기수祺壽근찬
의루공휘이수〈倚樓公諱頤壽遺狀〉제弟 직장直長 기수祺壽찬
성산공휘병창행록〈星山公諱秉昌行錄〉 불초남不肖男 문화文和 근찬
수일헌공휘기수행장〈睡日軒公諱祺壽行狀〉 제弟 판결사 유수裕壽 근찬
정간공휘원명행장〈貞簡公諱遠命行狀〉 종손宗孫 군수 중진重鎭 근찬
정간공휘원명시장〈貞簡公諱遠命諡狀〉 대제학 홍양호洪良浩 찬
호판공휘정진행장〈戶判公諱鼎鎭行狀〉 외종表從 승지 이창급李昌伋 찬
호판공휘정진시장〈戶判公諱鼎鎭諡狀〉 대제학 홍양호洪良浩 찬
남곡공휘계명〈南谷公諱啓命傳〉 17형兄 귀록산인歸鹿山人 술述
동강공휘상우행록〈東岡公諱相愚行錄〉 손남孫男 구명龜命 근찬
첨정공휘태수행록〈僉正公諱泰壽行錄〉 불초남不肖男 구명龜命 근찬
숙인청송심씨〈淑人靑松沈氏僉正公泰壽配行狀〉불초남 구명龜命 근찬
양일헌공휘준명행장〈養一軒公諱駿命行狀〉 제弟 구명龜命 근찬
동계공휘구명〈東谿公諱龜命小傳〉 재종제再從弟 영의정 현명顯命찬
◦신도비神道碑(8점)
증장령공휘익상〈曾掌令公諱益祥遺墟碑陰記〉13세손 준하俊夏 근찬
석곡공휘박〈石谷公諱璞神道碑銘〉 완산完山 이중명李重明 찬
지중추공휘시진〈知中樞公諱始晋神道碑銘〉성균관장 성락서成樂緖 찬
성강공휘견소〈星江公諱見素神道碑銘〉문인門人 대제학 남용익南龍翼 찬
퇴수암공휘성복〈退修菴公諱聖復神道碑銘〉이조판서 홍낙명洪樂命 찬
귀록공휘현명〈歸鹿公諱顯命神道碑銘〉충문忠文 영의정 이유원李裕元찬
취병공휘형〈翠屛公諱珩神道碑銘〉문정文貞 영의정 최석정崔錫鼎찬
동강공휘상우〈東岡公諱相愚神道碑銘〉문정文貞 이판吏判·대제학 이덕수李德壽찬
◦묘갈명墓碣銘(26점)
죽계공휘응록〈竹溪公諱應祿〉동부승지 동명 정두경東溟鄭斗卿 찬
풍영군휘응록〈豐寧君諱應祿〉이조참판 민병승閔丙承 찬
수죽공휘방직〈脩竹公諱邦直〉족증손族曾孫 문충文忠 좌의정 문명文命 찬
낙수공휘광형〈樂叟公諱光亨〉족손族孫 문충文忠 좌의정 문명文命 찬
석곡공휘박〈石谷公諱璞〉재종질再從姪 효헌孝憲 우의정 상우相愚 근찬
취수정공휘시정〈醉水亭公諱始鼎〉9대손 현구玹九 근찬
진사공휘성필〈進士公諱聖弼〉8대손 현구玹九 근찬
성강공휘견소〈星江公諱見素〉 홍문·예문관 대제학 오도일吳道一찬
사어공휘희식〈司禦公諱希軾〉방십대손傍十代孫 통훈대부 범하範夏근찬
해남공휘정립〈海南公諱廷立〉족후손族後孫 병조참판 홍진弘鎭찬
자산공휘익징〈慈山公諱益徵〉족후손族後孫 문정文靖 이조참판 병필秉弼찬
원원당공휘휴징〈源源堂公諱休徵〉문정文貞 예조판서 서종급徐宗伋찬
진사공휘정진〈進士公諱廷晉〉10대손 현구鉉九 근식
강재공휘남철〈剛齋公諱南哲〉 족제族弟 남권南權 찬
고산공휘희철〈高山公諱希轍〉 비서원승祕書院丞 정인표鄭寅杓 찬
참봉공휘정량〈參奉公諱廷亮〉 규장각부제학 이범세李範世 찬
교관공휘재육〈敎官公諱載堉〉 승정원좌승지 이범세鄭萬朝 찬
성암공휘준하〈誠菴公諱俊夏〉파평坡平 윤구중尹龜重 찬
승지공휘희보〈承旨公諱希輔〉 문충文忠 영의정 이경석李景奭 찬
진사공휘상정〈進士公諱相鼎〉 문정文貞 영의정 최석정崔錫鼎 찬
백분당공휘인수〈白賁堂公諱仁壽〉충정忠貞 대제학 최규서崔奎瑞 찬
수일헌공휘기수〈睡日軒公諱祺壽〉예조판서 임상덕宋成明 근찬
후계공휘유수〈后溪公諱裕壽〉대제학 홍양호洪良浩 찬
군기정공휘상개〈戶判公諱相槩〉 대제학 이덕수李德壽 찬
양일헌공휘준명〈養一軒公諱駿命〉 재종제再從弟 영의정 현명顯命찬
도사공휘익우〈都事公諱益祐〉 월성月城 이규헌李圭憲 찬
◦묘지墓誌(54점)
낙수공휘광형〈樂叟公諱光亨墓誌銘〉선공감부정繕工監副正 정시형鄭時亨 찬
취은공휘인형〈醉隱公諱仁亨墓誌〉종제從弟 광형光亨 찬
처사공휘익상〈處士公諱世賢墓誌銘〉대제학 도암 이재陶菴李縡 찬
석곡공휘박〈石谷公諱璞墓誌〉불초남不肖男 견소見素 경지敬誌
후포공휘전소〈后浦公諱全素墓誌〉제弟 견소見素 근찬
헌능령공휘영세〈獻陵令公諱永世墓誌銘〉풍원군豐原君 영의정 현명顯命찬
통덕랑공휘성빈〈通德郞公諱聖賓墓誌銘〉외외손 통훈대부 오철상吳澈常찬
지중추공휘시진〈知中樞公諱始晋墓誌文〉불초손不肖孫 명세命世 근찬
증숙인청송심씨〈贈淑人靑松沈氏星江公見素后配墓誌〉부夫 견소見素 찬
지족당공휘시채〈知足堂公諱始采墓誌銘〉세자익위사익찬 정찬휘鄭纘輝 찬
퇴수암공휘성복〈退修菴公諱聖復墓誌銘〉대제학 도암 이재陶菴李縡 찬
풍양군휘세훈〈豐壤君諱世勛墓誌銘〉찬인무고撰人無考
성암공휘준하〈誠菴公諱俊夏墓誌銘〉함평후인咸平后人 이계철李啓哲 찬
승지공휘희보〈承旨公諱希輔墓誌銘〉 홍문관제학 정두경鄭斗卿 찬
감역공휘민〈監役公諱珉墓誌〉 손남 의정부사인 대수大壽 찬
학생공휘재망〈學生公諱載望墓誌銘〉족부族父 구면龜命찬
학생공휘재원〈學生公諱載源墓誌銘〉족부族父 귀록옹歸鹿翁찬
증화원부부인안동김씨〈贈花原府夫人安東金氏墓誌銘〉외숙 삼연김창흡찬
국하공휘연흥〈菊下公諱然興墓誌銘〉 충문忠文 영의정 이유원李裕元찬
청소공휘용화〈晴沼公諱容和墓誌銘〉 충문忠文 영의정 이유원李裕元찬
검열공휘연빈〈檢閱公諱然斌墓誌〉 충문忠文 영의정 이유원李裕元찬
효순왕후조씨〈孝純王后趙氏墓誌〉 영조대왕어제묘지英祖大王御製墓誌
지와공휘대수〈止窩公諱大壽墓誌銘〉종제從弟 첨정僉正 유수裕壽찬
증정경부인대구서씨〈贈貞敬夫人大丘徐氏止窩公大壽配墓誌〉남男 석명錫命근지
증정경부인은진송씨〈贈貞敬夫人恩津宋氏止窩公大壽后配墓誌〉가옹家翁기
묵소공휘석명〈墨沼公諱錫命〉 옹 자찬翁自撰
증이조참판공휘재운〈贈吏曹叅判公諱載運墓誌銘〉 당제堂弟 재우載遇찬
증정부인청주한씨〈贈貞夫人淸州韓氏贈吏叅公載運配墓誌〉불초남 홍진弘鎭근찬
창암공휘홍진〈牕巖公諱弘鎭墓誌銘〉여서女婿 대제학 홍경모洪敬謨 찬
금탄공휘운표〈錦灘公諱雲杓〉 自製墓誌銘
증이조참판공휘재검〈贈吏曹叅判公諱載儉墓誌〉후남後男 홍진弘鎭근지
증정부인기계유씨〈贈貞夫人杞溪俞氏贈吏叅公載儉配墓誌〉후자後子 홍진弘鎭근서
인암공휘재도〈忍菴公諱載道墓誌銘〉 종숙부從叔父 귀록산인歸鹿山人찬
묵계공휘집명〈嘿溪公諱集命墓誌〉 종자從子 전주판관 재우載遇찬
판서공휘시준〈判書公諱時俊自誌〉 옹 자찬翁自撰
참판공휘시위〈叅判公諱時偉墓誌〉 손孫 형조참의 운긍雲兢 근지
취병공휘형〈翠屛公諱珩墓誌銘〉 홍문·예문관 대제학 오도일吳道一찬
진천공휘상변〈鎭川公諱相抃墓誌銘〉남男 직장直長 기수祺壽찬
증정부인밀양박씨〈贈正夫人密陽朴氏鎭川公相抃配墓誌銘〉조종저趙宗著찬
수일헌공휘기수〈睡日軒公諱祺壽墓誌銘〉외생外甥 교리 임상덕林象德 근찬
호판공휘정진〈戶判公諱鼎鎭墓誌銘〉 재종再從 군수 중진重鎭찬
후계공휘유수〈后溪公諱裕壽墓誌〉증손曾孫 김천군수 중진重鎭찬
증숙부인문화유씨〈贈淑夫人文化柳氏后溪公裕壽配墓誌銘〉부夫 유수裕壽찬
지추공휘시민〈知樞公諱時敏墓誌〉불초남不肖男 김천군수 중진重鎭찬
군기정공휘상개〈戶判公諱相槩墓誌銘〉 종손從孫 공조좌랑 구명龜命찬
죽천공휘최수〈竹泉公諱最壽墓誌〉불초고不肖孤 지명祉命찬
죽천공휘최수〈竹泉公諱最壽墓誌〉追錄嗣續以附誌尾 증손曾孫 종진琮鎭찬
무주공휘지명〈茂朱公諱祉命墓誌〉여서女壻 강화유수 정지검鄭志儉찬
첨정공휘태수〈僉正公諱泰壽墓誌銘〉 대제학 이덕수李德壽 찬
양일헌공휘준명〈養一軒公諱駿命墓誌銘〉 제弟 구명龜命 근찬
동계공휘구명〈東谿公諱龜命墓誌銘〉 대제학 황경원黃景源 찬
장천공휘해수〈章泉公諱海壽墓誌銘〉종질從姪 영의정 현명顯命찬
숙인전주이씨〈淑人全州李氏判決事公斗壽配墓誌銘〉질姪 구명龜命 근찬
학생공휘학명〈學生公諱鶴命墓誌銘〉 종형從兄 구명龜命 찬
◦묘표墓表(40점)
장사랑공휘후지〈將仕郎公諱厚之〉10세손 통훈대부 중진重鎭 찬
증장령공휘익상〈曾掌令公諱益祥〉7세손 풍원군豐原君 영의정 현명顯命찬
처사공휘세현〈處士公諱世賢〉방손 풍원군豐原君 영의정 현명顯命찬
증승지공휘희윤〈贈承旨公諱希尹〉5대손 세자익위사좌사어 정세靖世찬
후포공휘전소〈后浦公諱全素〉삼종제三從弟 효헌孝憲 우의정 상우相愚 찬
현감공휘시구〈縣監公諱始久〉문익文翼 영의정 유척기兪拓基 찬
호판공휘중소〈戶判公諱重素〉10세손 현구玹九 근찬
증숙인창원황씨〈贈淑人昌原黃氏星江公見素初配〉
신위단비음기神位壇碑陰記 도암 이재陶菴李縡 찬
학생공휘병구〈學生公諱炳龜〉증손남曾孫男 정구鼎九 근찬
후석공휘동진〈學生公諱東????〉불초남不肖男 정구鼎九 근찬
증집의휘성집〈贈執義公諱聖集〉문암文菴 대제학 이의철李宜哲 찬
사어공휘희식〈司禦公諱希軾〉종손從孫 효헌孝憲 우의정 상우相愚 찬
검지공휘황〈檢知公諱璜〉재종손再從孫 홍문관 응교 대수大壽 찬서
충위의공휘정필〈忠義衛公諱廷弼〉봉상사 첨정僉正 최준형崔俊衡 찬
선교랑공휘○〈宣敎郎公諱○〉통훈대부 김재성金在星 찬
병사공휘위진〈兵使公諱威鎭〉족후손族後孫 남권南權찬
증집의공휘정수〈贈執義公諱廷秀〉풍원군豐原君 영의정 현명顯命찬
수신재공휘액〈修愼齋公諱詻〉족증손族曾孫 통훈대부 중진重鎭찬
통덕랑공휘운상〈通德郞公諱雲祥〉6세사손六世嗣孫 남철南哲근찬
감찰공휘기〈監察公諱磯〉증손曾孫 효헌孝憲 우의정 상우相愚근식서
첨지공휘근〈僉知公諱瑾〉 비서원승祕書院丞 정인표鄭寅杓 찬
성암공휘준하〈誠菴公諱俊夏〉 구행서具行書 근찬
귀락정공휘경명〈歸樂亭公諱景命〉계제季弟 풍원군豐原君 영의정 현명顯命찬
서흥공휘재건〈瑞興公諱載健〉 계부季父 귀록산인歸鹿山人 찬
학생공휘재순〈學生公諱載順〉 재종숙再從叔 동계구명東谿龜命 찬
교하공휘영명〈交河公諱永命〉 제弟 풍원부원군 좌의정 문명文命 찬
학생공휘재극〈學生公諱載極〉 계부季父 귀록옹歸鹿翁 찬
학암공휘문명〈鶴巖公諱文命〉 계제季弟 풍원군豐原君 영의정 현명顯命찬
귀록공휘현명〈歸鹿公諱顯命〉 옹翁 자표自表
귀록공휘현명음기〈歸鹿公諱顯命陰記〉 불초남不肖男 풍성군豐城君 재득載得
지와공휘대수〈止窩公諱大壽〉종자從子 풍원부원군 좌의정 문명文命찬
묵소공휘석명〈墨沼公諱錫命〉 외육대손外六代孫 이조참판 홍승헌洪承憲찬
서윤공휘철명〈庶尹公諱哲命〉종제從弟 풍원군豐原君 영의정 현명顯命찬
서윤공휘철명〈庶尹公諱哲命〉추록 불초손不肖孫 이조판서 상진尙鎭 찬
도촌공휘재우〈陶村公諱載遇〉불초남不肖男 이조판서 상진尙鎭 찬
정간공휘원명〈貞簡公諱遠命〉 불초손不肖孫 호조판서 정진鼎鎭 찬
교리공휘재덕〈校理公諱載德〉 불초남不肖孫 호조판서 정진鼎鎭 찬
대사간공휘익명〈大司諫公諱翼命〉 당제堂弟 영의정 현명顯命 찬
첨정공휘태수〈僉正公諱泰壽〉종제從弟 유수裕壽찬
개령공휘세적〈開寧公諱世勣〉방십오대손傍十五代孫 남권南權찬
◦유사遺事(26점)
사옹원정공휘개평〈司饔院正公諱開平〉유사遺事 3건 계자변繼子辨
학생공휘진기〈學生公諱鎭基〉효자정단孝子呈單 노성유생 등 66인
유인평산신씨〈孺人平山申氏秉宇配〉효부포창문孝婦褒彰文 원장 민병모 등
죽계공휘응록〈竹溪公諱應祿〉사실事實 8대손 필弼 감찬鑑撰
수죽공휘방직〈脩竹公諱邦直〉유사遺事 20건 찬인명撰人名 결缺
낙수공휘광형〈樂叟公諱光亨〉기몽설記夢說 우인友人 정시형鄭時亨 저
처사공휘익상〈處士公諱世賢〉처사칭호변處士稱號辨 노동종중魯洞宗中
석곡공휘박〈石谷公諱璞〉
- 반산서원원정비명盤山書院院庭碑銘 성균관장 박성수朴性洙 찬
- 수락당기壽樂堂記 형조참판 소봉 김대덕(蘇峯金大德) 득지고得之稿
- 유저遺著 2건
- 용졸당기用拙堂記 북강거사기北江居士記
후포공휘전소〈后浦公諱全素〉
- 유저遺著 1건
- 유흥遺興 1건
성강공휘견소〈星江公諱見素〉 유저遺著 제팔일도題八逸圖 외 8건
퇴수암공휘성복〈退修菴公諱聖復〉
- 유시遺詩 옥중감음獄中感吟 외 8건
- 유흥遺著 5건
사어공휘희식〈司禦公諱希軾〉
- 흥학당기興學堂記 외1건 계산桂山 돈하敦夏 식識
- 흥학당중건기興學堂重建記 외1건 성암성암 준하俊夏 식識
설청공휘동숙〈雪晴公諱東肅〉유저遺著
- 전가잡영田家雜詠 15수
- 월소정중수기月笑亭重修記
난재공휘태징〈蘭齋諱泰徵〉남산사중건기南山祠重建記 정찬경鄭燦景근기
학생공휘구징〈學生公諱久徵〉율하재이건기栗下齋移建記 9세손 남술南述근기
두곡공휘봉구〈斗谷公諱鳳九〉유저遺著 送宋寢郞丈潡穆謫大馬島 외 6수
풍춘군휘기영〈豐春君諱耆永〉교구송덕비명矯捄頌德碑銘 이능섭李能燮찬
승지공휘희보〈承旨公諱希輔〉 열운정기閱雲亭記 이정귀월사집(李廷龜月沙集)
석죽공휘의진〈石竹公諱冝鎭〉유저遺著 김절부전金節婦傳
참봉공휘운사〈參奉公諱雲師〉 몽암수필夢庵隨筆 홍대 최강현교수 논문중에서
학암공휘문명〈鶴巖公諱文命〉유저遺著 만언소萬言疏
귀록공휘현명〈歸鹿公諱顯命〉
- 유저遺著 임천의장절목林川義庄節目(庚辰)
- 유시遺詩 덕림회양공선영향사후음德林淮陽公先塋享祀後吟 3수
창암공휘홍진〈牕巖公諱弘鎭〉 구계세묵서癯溪世墨序
참판공휘진화〈叅判公諱晉和〉유서遺書
- 상주종중내서尙州宗中來書 奎鎭錫洛錫獻虎然(沐洙) 외 1건
- 답상주종중내서答尙州宗中來書 晉和 외 1건
우교공휘중진〈于郊諱重鎭〉유저遺著 매회시후서梅會詩後序
군기정공휘상개〈戶判公諱相槩墓誌銘〉유저遺著 초미금사서焦尾琴詞序
◦제문祭文(3점)
증집의공휘정수〈贈執義公諱廷秀〉만사挽詞 족제族弟 광형光亨
의루공휘이수〈倚樓公諱頤壽〉 유저遺著 祭文
동강공휘상우〈東岡公諱相愚〉제계부동강공문祭季父東岡公文 유수裕壽 근고
◦정려旌閭(7점)
열녀烈女: 증숙인창원황씨〈贈淑人昌原黃氏星江公見素初配〉회양공 사옹정공파
- 정려이건기旌閭移建記 완산후인 이중명李重明 찬
효자孝子: 지평공휘성일전〈持平公諱聖一〉
열녀烈女: 숙인온양정씨〈贈淑人溫陽鄭氏持平公聖一配〉
- 정서呈書
- 본관제사本官題辭, 본관보장本官報狀, 영제營題, 정영장呈營狀, 제題
- 증사헌부지평조공효자비贈司憲府持平趙公孝子碑 안동 권진權袗근식
열녀烈女: 유인선산김씨〈孺人善山金氏學生公壎后配〉장례원입안掌禮院立案
열녀烈女: 유인용궁전씨〈孺人龍宮全氏學生公珍九后配〉장례원입안掌禮院立案
효자孝子: 통덕랑공휘화진〈通德郞公諱華鎭〉기사유장己巳儒狀
열녀烈女: 숙인전주이씨〈淑人全州李氏僉正公安和后配〉갑진유장갑진儒狀
<註> |
1) 옛날 예복(禮服)의 화려한 문채를 말하는 것으로, 지극히 아름답고 격조 높은 문사(文辭)를 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