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조묘 분묘 출물 통지문

시조묘 분묘 출물 통지문

글자작게 글자크기 글자크게

ma01.png 시조묘 복원 출물 통지문(修墓時出物通文)

 

익翼1),즙濈2), 정靖3), 방직邦直4), 흡潝5), 직溭6)등 통문

알리는 말씀(인조 8년, 1630년)

시조始祖 시중공侍中公의 묘소가 풍양豐壤 적성동赤城洞에 계시는데 성능成陵과 같은 곳이므로 해서 평장平葬된 바 있다. 그러나 능은 이미 혁파革罷되었으므로 다시 옛 묘의 모습으로 되찾아 할 일이나 지금까지 회복되지 못하였으니 참으로 우리 자손들의 죄입니다.

 

금번에 모든 종원宗員의 노력으로 상소上疏하여 다신 묘를 단장하고 표석表石을 세우고 석물石物을 갖추려고 합니다. 따라서 모든 우리 내외 자손된 사람은 각각 미포(米布; 쌀 및 베, 무명, 비단)를 내어 이 역사(役事; 토목공사)를 도와야만 하겠습니다.

 

 

[원문]

 

修墓時出物通文

右文 始祖侍中公墳墓 在豐壤赤城洞 廢朝時以成陵同原故夷之 今陵已罷 卽當復成墳形 而至今未復 誠吾輩子孫之罪也 今者相議上疏將復成墳 且立表具石物 凡我內外子孫各出米布以助 其役爲幸事

 

 

 <>

  1) 익(翼) [1579~1655] 자 비경(飛卿), 호 포저(浦渚), 시호 문효(文孝), 문신·학자, 문과급제, 예조판서, 좌의정 등. 경학(經學)·예학(禮學)에 밝으며, 대동법 시행을 주장, 저서에『浦渚集』,『浦渚遺書』,『家禮鄕宜』 등, 숭양서원, 명고서원에 제향되었다.

  2) 즙(濈) [1568 ~ ]. 자 덕화(德和), 호 화천(花川). 문과급제, 부수찬·장령·영해부사·동부승지,『명종실록』의 개수·편찬 때 부교리로서 참여, 사은사 겸 성절사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3) 정(靖) [1555~1636]. 자는 안중(安仲), 호는 검간(黔澗), 문과급제, 임란 때 의병으로 참여, 봉상시정·이조판서에 추증, 속수서원에 봉향. 저서는『검간문집』『진사일록(辰巳日錄)』이 있다.

  4) 방직(邦直) [1574~1637]. 자 숙청(叔淸), 호 수죽(脩竹). 문과급제, 장령·사간·집의·좌부승지, 영사공신(寧社功臣), 성리학에 뛰어났으며 저서로 『수죽유고』있다.

  5) 흡(潝) [ ~1661]. 자 흡여(潝如) 풍안군(豊安君) 정사공신(靖社功臣) 3등, 부평도호부사·상의원정·공조참의·한성부좌윤, 저서『풍안군일기(豊安君日記)』, 시호 경목(景穆)이다.

  6) 직(溭) [1592~1645]. 자 지원(止源), 호 지재(止齋). 호조좌랑·형조정랑·고성군수 등, 시문과 산수화에 능했다. 대사헌으로 추증되고, 한천군(漢川君)에 추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