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종회 연혁

(아래 시대를 선택하시면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일제강점기

광복~1999년

2000년 이후

 

 

대종회 연혁

글자작게 글자크기 글자크게

ma01.png 조선시대

 

년 월 일

이 조

연  혁

1630. 5. 20

인조 8년

시조 시중공 묘소의 평장된 봉분을 복원할 수 있도록 상소(疏請)함

[선조 10년에 후궁 공빈 김씨(광해군의 생모)가 별세하자 시중공 묘소 뒤에 묘를 썼는데 광해군 2년에 공빈묘를 성릉이라 추승하고 이듬해 릉의 규모로 확장할 때 시중공 묘소 봉분을 없애고 수목을 심어 평장되었는데, 인조반정으로 성릉의 릉호가 혁파되었으므로 봉분을 다시 만들 수 있도록 해달라고 상소를 올린 것임]

1630. 10. 10

인조 8년

시중공 묘소의 봉분을 다시 세우고 고유제 봉행

1634. 10. 11

인조 12년

시중공 묘비를 세움

1651. 09.

효종 2년

시중공 묘표를 세움

1715. 04. 05

숙종 41년

시중공 묘소 잔디를 새로 입히고 改莎祭 봉행(문헌상 종회의 효시임)

1731

영조 7년

풍양조씨세보(창간보) 간행(3책)

[보판은 상주 청계사에 보관하고 보각 수호답 매입]

1738

영조 14년

시중공 묘 위답 매입(16두락), 시중공묘소 세일제 절목 제정

1741. 09. 04

영조 17년

시중공 묘소에서 성묘례 봉행

1752

영조 28년

시중공 묘 위답 추가매입(4두락)

1760

영조 36년

시중공 묘 위답 추가 매입(27두락)

시중공 묘 위답 추절목 제정, 상주 보각 절목 제정

풍양조씨세보(중간보) 간행(본보 9책, 부록 1책, 계 10책)

[보판을 신해보판과 함께 상주 남장사 보각에 보관함]

1763

영조 39년

시중공 묘 위답 추가매입(4卜)

1764

영조 40년

시중공 묘 위답 추가매입(3卜1束)

1765

영조 41년

시중공 묘 위답 추가매입(3卜2束)

1766

영조 42년

시중공 묘 위답 추가매입(4卜4束)

1768

영조 44년

시중공 묘 위답 추가매입(4卜5束)

1770

영조 46년

시중공 묘 위답 추가매입(10卜5束)

1774

영조 50년

시중공 묘 위답 추가매입(9卜11두락)

1826

순조 26년

풍양조씨세보(3중간보) 간행(본보 15책, 부록 1책, 계 16책)

[보판을 상주 남장사 보각에 보관함]

1841

헌종 7년

시중공 묘 위답 추가매입(1結9卜7束, 밭79두락, 논3日耕)

시중공 종중 제기 추가 구입(풍은부원군 만영 헌성)

1860. 10.

철종 11년

견성암 중수

1882

고종 19년

견성암 중수

1899. 06.

광무 3년

견성암을 새로 건립

[대웅전과 견성암 현판은 해관 윤용구가 쓰고, 산령각은 후손 동윤이 쓰고, 첨화실은 상산(가오실 대신) 이유원이 씀]

1900. 08.

광무 4년

풍양조씨세보(4중간보) 간행(본보 28책, 부록 1책, 계 29책

1905. 09.

광무 9년

시중공 묘하비 건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