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조묘 복원 예조 회답문

시조묘 복원 예조 회답문

글자작게 글자크기 글자크게

ma01.png 시조묘 복원 예조 회답문(禮曹回啓)

 

예조에서 회답하기를 예조판서 선원 김상용(仙源 金尙容)1)


지난번 부호군 조수이趙守彝 등이 상소한 내용은 그들 시조 조맹 묘소에 관한 것입니다. “혼조(昏朝: 광해군)때에 공빈을 추존, 묘를 승격시켜 능으로 삼자 동묘同墓가 앞에 있음으로 해서 결국 그 산소를 평장平葬시켰습니다. 그러나 반정(反正; 인조반정) 후에 공빈묘의 능호가 이미 혁파되었으므로 자손들이 그 산소를 복원하고자 정소呈訴 2) 하기에 이르렀습니다. 이에 헤아려보건대 선조의 하교下敎에도 『조맹은 나에게도 외조外祖』라 하여 그 묘소를 유지하였습니다. 따라서 능호陵號가 혁파되었으니 사리事理 상으로도 마땅히 그 땅을 원상회복하여 묘의 형태를 되찾도록 해야 할 것이며, 조정에 여쭈어 의논조차도 할 필요가 없는 사안事案입니다. 자손들의 요청대로 무덤을 봉하고 표석表石을 세우도록 윤허允許하여 전 시대에 공이 있던 어진 신하를 정표旌表가 되게 함이 어떠하신지요?” 하답(下答:지시)하기를 “의계(依啓:허락)3) 하라” 하였다.

 

 

 

[원문]

 

禮曺回啓

禮曺回啓云云 禮曹判書仙源金尙容 向前副護軍趙守彝等 上疏內辭綠 亦其始祖趙孟墓 昏朝時追尊恭嬪 陞墓爲陵以同塚在前之 故遂夷其墳 反正後恭嬪墓已革陵號 裔孫等欲復其塋域 至於呈訴爲白有臥乎所4) 據此叅商5) 爲白乎矣6)  宣廟下敎內 趙孟於予亦外祖也 命封其墓 則陵號革罷後 事當覆土 卽成其墳 不必呈疏稟議朝廷 是白置7)依子孫所籲 許令封墓植表以旌 異代勳賢之臣8)何如 答曰依啓

 

 

<>

 1) 조선 인조 때의 상신(相臣)이며, 병자호란 때의 순절인(殉節人). 본관은 안동. 자는 경택(景擇), 호선원(仙源), 좌의정 상헌(尙憲)의 형, 1582년(선조 15) 인조반정 뒤 병조·예조·이조의 판서 역임, 문집은《선원유고》7권이 전하고, 시호는 문충(文忠)

 2) 소장(訴狀)을 관청에 내다.

 3) 신하의 계문(啓聞)에 따른다는 뜻으로, 임금이 재가함을 이르는 말이다.

 4) [吏(이두어)] ─하였삽는 바. ─하옵셨는 바.

 5) 叅商 → 관계하여 헤아린다. 또는 알아 본다는 뜻이다.

 6) [吏(이두어)] ─하사오되. ─하옵되. ─하옵시되.

 7) [吏(이두어)] ─이옵니다. ─이사와도. ─이옵기도.

 8) 異代勳賢之臣 → 다른 시대의 공이 있는 어진 신하 즉 시중공을 말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