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사 절차
제례(祭禮) |
제례의 의미
제례는 조상의 은덕을 추모하여 정성을 기념하는 의식이다. 현재의 나는 과거의 조상들로부터 이어져서 태어났고 미래의 우리 자손들로 계승될 것이다.
뿌리없는 나무없고 조상없는 자손이 있을 수 없듯이 중요한 인류역사의 미래를 이어주는 제례는 상중에 지내는 우제(虞祭)와 소상, 대상, 시제(時祭), 차례(茶禮), 묘제(墓祭) 등이 있다.
제기와 제수
(1) 제구준비
돗자리, 병풍(글씨), 제상, 면지, 교의, 지방 또는 신주의자, 향초, 향로와 향합, 모사기, 촛대 2개, 신주, 위패, 지방, 신위, 퇴주그릇
(2) 제수와 진설 (예시 : 설[떡국] 추석[송편])
제례복식
남자 - 흰도포, 두루마기, 유건
여자 - 옥색치마, 저고리
제례절차
(1) 영신
① 대문을 열어 놓는다.
② 북쪽 : 병풍-제상-제수진설-돗자리
③ 지방, 양초, 향로, 향합, 교의, 모사기, 신주(위패, 지방), 퇴주그릇
(2) 강신
① 제주가 신위 앞에 앉아 향로에 향을 피운다. 바른편의 집사가 제상에서 잔을 들어 제주에게 잔에 술을 조금 따른다.
② 향불 위에 3면 돌리고 모사 그릇에다 3번에 나누어 붓고 빈 잔을 집사 에게 주면 집사는 제자리에 놓는다.
③ 제주는 재배한다.
(3) 참신
① 참사자 2번 절한다.
② 진찬 때는 주인은 육(고기), 어(생선), 갱(국)을 올리고 주부는 면(국수), 편(떡), 메(밥)를 올린다.
(4) 초헌
① 제주는 분향하고 집사가 잔에 술을 붓는다.
② 제주는 오른손으로 잔을 향불 위에 세번 돌리고 모시그릇에 세번 나누어 붓는다.
③ 집사 - 메그릇과 갱그릇 사이 앞에 놓는다.
④ 제물 위에 젓가락을 올려놓고 제주는 두번 절한다.
(5) 제주 또는 축관이 축문을 읽는다.
모두 엎드리고 축을 읽는 사람만 꿇어앉아 축을 읽는다.
(6) 아헌
절차는 초헌과 동일하나 모사에 술을 따르지 않는다.
주부는 네번 절한다.
(7) 종헌
아헌자의 다음가는 근친자.
아헌과 동일하나 술은 7부 가량 따른다.
(8) 첨작
종헌이 끝나고 제주가 종헌 때 7부쯤 따라 올렸던 술잔에 세번 첨작하여 가득 채운다.
(9) 삽시정저
① 첨작끝 - 주부는 숟가락은 메 중앙에, 젓가락은 어적이나 육적 위에 놓는다.
② 삽시정저가 끝나면 제주는 두번, 주부는 네번 절한다.
(10) 합문
대청마루나 뜰 아래로 내려간다.
(11) 계문
축관이 헛기침을 세번 한다.
(12) 헌다
갱을 내리고 숭늉을 올린다. 메를 세 번 떠서 숭늉에 만다.
(13) 철시복반
수저는 제자리에 놓고 메그릇 뚜껑을 덮는다.
(14) 사신
① 참사자는 두번 절하고 지방과 축문을 불사른다.
② 축관이 신주를 제자리에 갖다 놓는다.
(15) 철상
제상 위의 모든 제수를 집사가 뒤쪽에서부터 물린다.
(16) 음복
조상이 남겨준 복된 음식이라 해서 시식하고 친척과 이웃에게 나눠준다
※ 본 자료는 뿌리정보미디어에서 제공한 것으로서, 뿌리정보미디어와의 사전 협의없는 무단복제 및 도용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