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천 조완구
우천 조완구 독립운동가(임시정부 국무위원 재무부장) |
1. 생애
- 1881. 3. 20 서울 계동에서 출생, 1902년 3월 한성법학전수학교 졸업 후 대한제국 국내부 내부주사 근무 중 1905년 을사보호조약 체결에 울분하여 직을 사임. 1901년 한일합방(경술국치)을 계기로 독립운동에 투신하였다.
- 명문가 출신의 신교육 엘리트
선생의 조부는 이조판서 봉하, 부친은 이조참판 동필이며, 1895년 예조판서 홍승목의 장녀 홍정식과 결혼하였다.
2. 독립운동사
김구, 김규식, 이시영 등 임정 요인과 임시정부 국무위원으로 광복 때까지 함께한 독립운동의 거목이며, 우리문중 독립운동가들 중 대표적 인물이다.
- 1914 : 북간도에 망명, 독립운동단체 결성, 이상설 등과 민주공화정부 수립계획
- 1917 : 로령 블라디보스톡으로 망명, 전로 한족중앙회결성 항일운동 개시
뒤좌 송병조, 차리석, 조완구 앞좌 조성환, 김구, 이시영 |
- 1919 : 3.1운동 후 이동녕 조성환 등과 상해로 집결. 대한민국임시정부수립전원위원회 위원장 피선
- 1921 : 대한민국임시정부 내무차장에 취임
- 1922 : 김구, 조상섭, 김인전, 여운형과 군인 양성과 전비조달 목적으로 한국노병회 조직
- 1926 : 임시정부 상해에서 광동으로 이전, 김구 선생 국무령 피선
- 1931 : 김구, 김철, 조소앙 등과 중국 측 인사와 “한중항일대동맹” 조직
- 1932 : 한인애국단 이봉창의거, 윤봉길 상해 홍구공원 의거 성공 지원
- 1940 : 한국광복군 선언문 공포, 임시정부 중경으로 이전(광복 시 까지 집무)
- 1941 : 임시정부 대일 선전포고
- 1944 : 국무위원에 재임명, 재무부장 겸임
- 1945 : 김구 주석과 서안의 광복훈련 한미합동작전 참전
- 1945. 8. 15 : 조국 광복
- 1945. 12월 : 중경출발 상해경유 2진으로 환국 “대한민국임시정부 개선 환영 대회 개최”
- 1946 : 비상국민회의 재정위원장, 최고정무위원, 민주의원 피선
- 1948 : 남북협상대표- 남한 우익 대표로 참석, 김구 주석과 8인 중 주석단으로 참석
- 1949 : 백범 김구 선생 총격 서거 후 한국독립당 위원장 취임
- 1950. 1. 29 : 풍양조씨 화수회(대종회) 초대회장 취임
- 1950. 9. 18 : 6.25 동란 중 납북
- 1989. 3. 1 : 건국훈장 대통령장 서훈
- 1991. 10. 1 : “북한 군병원에서 서거” 소식을 알게 됨 <1954. 10. 27. 74세 일기로 서거>
- 1991. 10. 27 : 대전에서 선생의 37주기 추모제 거행
- 1991. 11. 21 : 정부 주최 납북독립유공자 민족지도자 15위 추모제 거행, 동작동 국립묘지 애국지사묘역 무후선열단 1단 5호 위패봉안
- 2019. 6. 29 : 국립현충원 충혼당에 충북 괴산의 부인 홍정식 여사 유해를 선생의 위패와 합장.
3. 선생의 비극적 가족사
망명 당시 부인과 1남 2녀의 가장 이었으나 배위 홍정식 여사는 선생이 환국하시기 전 1945년 2월에 별세하고, 독자 남규는 한성공업전수학교 재학 중 선생 망명 중이던 1914. 6월 만주 용성에서 행방불명, 장녀 역시 사망하고, 차녀 규은은 부친의 일대기 “고독한 승리” 책자 발간 후 2004. 7월 타계하여 독립운동가의 애통한 가족사를 느끼게 한다.
4. 선생에 대한 추모사업
- 2000. 6. 9 : 풍양조씨 대종회 주관으로 『우천조완구선생기념사업회』창립
- 2003. 5. 6 : 독립기념관에 기념사업회 주관『우천조완구선생어록비』건립
- 2005. 4.10 : 남양주 종산 자락에『우천조완구 초대 대종회장 공적비』건립
- 매년 11월 둘째주 수요일에 대종회관에서 기념사업회 주관 추모제 거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