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우천선생 년보 |
年. 月 |
年令 |
行 蹟 |
時 事 |
1881. 03. |
1 |
서울 종로구 계동에서 豐壤 趙東弼. 安東金氏의 2男으로 출생 |
|
1895. |
15 |
豊山 홍승목씨 장녀 貞植과 결혼 |
閔妃 弑害됨 |
1902. 03. |
22 |
한성법학전수학교(서울법대전신)졸업 |
경인간 전화가설 개통 |
1905. 12. |
25 |
을사조약 늑결에 울분하여 내무 주사직을 사임, 대한협회 조직 |
을사보호조약 |
1906∼1909. |
|
양구군수 임명발령에 취임거절 |
민영환 자결, 고종 순종에 양위, 안중근 이등박문 저격 |
1909. |
29 |
대종교에 입교(청년교화 및 민족의식 고취) |
|
1910. |
30 |
독립운동 전개(경술국치 후 대종교 시교사 겸 규칙기초위원) |
한일합방. 안중근의사 여순감옥에서 순국 |
1911. 01. |
31 |
대종교 참교발령, 지교가 됨 |
압록강철교 준공 |
1914∼1917. |
|
북간도로망명, 용정등을 무대로 독립운동전개, 독립운동 단체 결성, 민주공화정으로의 정부수립계획(이상설선생 등과), 북로군정서 설치(서일 등과) 독립운동 전개 |
1914. 세계1차전쟁 발발 |
1916. |
36 |
대종교 본사 부전리로 상교가 됨 |
|
1917. |
37 |
노령 불라디보스톡으로 망명, 全露韓族中央會 결성 항일 독립운동 실시 |
|
1917. 12 |
37 |
‘한족공보’라는 신문발간 및 주필 취임 |
소련 사회주의공화국 수립 |
1918. |
38 |
무오독립선언서 기초위원으로 선언서 작성하고 39인 서명으로 발표 |
세계1차대전 종전 |
1919. 02. |
39 |
노령 니콜리스크에서 대한국민의회를 정부로 개칭, 여운영. 이상설. 이동령 등과 상해임시정부 설립을 논의 |
상해임시정부 |
1919. 03. |
|
노령에서 독립만세운동 실시, 이상설 전기 저술 및 이상설 임종으로 장례를 주관 |
3. 01.독립만세 |
1919. 03. |
|
3. 1운동후 이동령. 조성환등과 상해로 집결하여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임시의정원 의원으로 활약, 전원위원회 위원장 |
|
1919. 04. |
|
국제연맹회 제의안건 특별위원회위원장역임, 임시의정원 의원으로 선임됨 |
|
1919. 04. |
|
임시의정원 선서문과 정강 제정의원으로 선임됨 |
|
1919. 04. |
|
대한민국 임시정부 선포식 참여 |
|
1919. 04. |
|
대한민국 임시정부 현판식 참여 |
|
1919. 04. |
|
임시의정원, 집단지도체제 채택 |
|
1919. 05. |
|
시정방침 연설(교통부 및 연통제실시)과 파리강화회의에 김규식판견 독립청원서 제출문제와 편찬회설립(김두봉, 이광수, 김병조, 이원익, 조동우, 김홍서, 이한근, 박현환, 김홍서, 장봉)하여 조선역사와 한일관계를 편찬토록 함 |
|
1919. 05. |
|
평양북도 신의주 건너 만주안동에 교통부 안동지부를 설치(주도) |
|
1919. 06. |
|
임시 지방교통사무국 장정을 기초공포 |
|
1919. 06. |
|
상해인성학교(교포자녀교육기관)후원회장 |
|
1919. 07. |
|
임시의정원 의회 및 전원위원회 상임위원회특별위원회 인선완료 |
|
1919. 07. |
|
연통제 실시사업에 주무를 담당, 임시의정원 연통제 공포(주동적역할) |
|
1919. 07. |
|
의정원(5차회)에서 상해임시정부 의정원과 노령 국민회의와 합병을 주도 |
|
1919. 08. |
|
임정기관지 독립신문을 창간주도 |
|
1919. 09. |
|
임시 의정원 특별위원 피선(조완구, 장봉, 고일청, 김병조) |
|
1919. 10. |
|
애국부인회(상해, 프랑스조계)조직을 지원 |
|
1919. 12. |
|
정의단군정부 임시정부에 편입, 북로군정서(총재 서일)로 개칭하여 활동지원 |
|
1920. 01. |
40 |
상해 대한거류민단 설립(여운형, 선우혁 등과 운영) |
조선일보. 동아일보 발간 |
1920. 01. |
|
노령 니콜리스크에 임정군무부지부(지부장 강양욱)을 설치 |
|
1920. 02. |
|
임시정부 “대한독립단” 한족회청년단연합회등을 통합 |
|
1920. 02. |
|
이시영, 이동령, 이광, 조성환, 김규식 등과 함께 북경에서 임시정부와 손을 뗀 이회영선생을 설득(6개월 체류) |
|
1920. 10. |
|
북로군정서 김좌진, 나중소, 이범석, 부대 2.500명 만주화룡현삼도구청산리에서 일군 3.300명 사살전과 막후지원 |
|
1920. 10. |
|
만주. 왕청. 훈춘. 동령. 영안, 목릉등에 임시정부 북부총판부를 설치주도 |
|
1921. 01. |
41 |
이동령선생 임정국무총리에 임명에 주도적 추진 |
일본. 총리(하라)암살됨 |
1921. 01. |
|
만주에서 철수한 독립군부대(서로. 북로군정서)를 노령에서 대한독립군단(총재 서일)으로 개편조직함에 참여 |
|
1921. 05. |
|
임시정부 내무차장에 취임 |
|
1921. 07. |
|
임시정부 중앙관리급여규정 공포 |
|
1921. 10. |
|
임시정부교통부훈령제10호로 함경도 사동 접후리, 갑산, 삼수, 풍산, 함흥 팔도구 원산, 홍원, 북청, 단천, 이원 등지에 지부설치를 주도 |
|
1922. 2. |
42 |
중국호법정부와의 외교관계 지속을 위한 광동외무국(국장 박찬익)설치에 협력 |
소련. 사회주의공화국 수립 |
1922. 05. |
|
상해의 “독립신문”의 한문판 중간을 지원(김승학, 백광운, 장기초 주동) |
|
1922. 09. |
|
대종교서이도본사 선리부령 임명 |
|
1922. 09. |
|
상해교포 200여명의 한국동포연합회 조직을 후원 |
|
1922. 10. |
|
김구, 조상섭, 김인전, 여운형과 함께 군인양성과 전비조달을 목적으로 한국노병회조직에 참여 |
|
1923. 01. |
43 |
임시정부 내분수습을 위한 국내외 100여독립단체에서 1.620명참석 상해국민대표회의(의장. 김동삼)참가 |
동경대지진-조선인의 습격유언에 현지교포일부 학살됨. |
1923. 05. |
|
대한민국임시정부 의정원상설 “정책연구위원회”설치참여 |
|
1923. 10. |
|
임시정부기관지, 독립신문에 조사부 설치하여 독립운동지도와 경력조사로 독립운동에 도움이 되도록 지원 |
|
1924. 03. |
44 |
만주. 김좌진. 김혁등이 독립군을 규합북로군정서의 정신을 계승한 신민부를 지원 |
총독 저격사건 |
1924. 04. |
|
이동령선생 재차 국무총리 취임 |
|
1924. 05. |
|
임시정부 노동총판 취임 |
|
1924. 09. |
|
이동령선생을 대통령 직무대리로 선임 |
|
1925. 01. |
45 |
임시정부 국무원개편, 박은식선생 취임, 헌법개정, 내정정돈, 외교실효의 운영방침설정에 참여 |
|
1925. 04. |
|
임시헌법 2차 개헌 |
|
1925. 11. |
|
박은식선생 서거 조문 |
|
1926. 06. |
46 |
임시정부 상해에서 광동으로 이전 |
이왕(승하)인산만세사건 |
1926. 09. |
|
김구선생 국무령 피선 |
|
1927. 01. |
47 |
대한민국임시정부 직제개정 노동위원제 채택, 집행위원장 김구 위원, 이동령, 조완구참여 |
조선총독부 청사 준공 |
1927. 08. |
|
임시 약헌 발효(주석 이동령, 국무위원. 김구 등) |
|
1927. 11. |
|
조성환, 진덕삼 등 임시정부의 여당으로 독립당 각지대표가 연합회에 참여 |
|
1928. 03. |
48 |
상해프랑스 조계에서 대한민국임시정부 주관, 한국독립당을 이동령. 안창호 . 김구. 이시영등과 조직 |
|
1929. 03. |
49 |
정의부, 참의부, 신민부, 만주길림성에서 2차통일회의 개최 |
광주학생사건 |
1929. 08. |
|
김구선생 상해교민단장 피선, 독립운동가족들의 생활을 지원 |
|
1930. 01. |
50 |
김좌진장군 공산주의자에 의하여 암살당함 |
런던 군축회의. |
1930. 07. |
|
한국독립당, 한국독립군 창설(만주, 길림성)에 홍진. 신숙. 이청천. 이규채 참여 |
|
1930. 08. |
|
김구선생 국무령에 추대 |
|
1931. 03. |
51 |
김구, 김철, 조소앙 등과 중국측 인사와 ‘한중항일대동맹’을 조직 |
만주사변발단. 만주국수립. |
1931. 12. |
|
상해 한인반제동맹 창립 참여 |
|
1931. 12 |
|
재외 대한교민단 규칙 개정공포, 김구선생과 한인애국단 조직 |
|
1932. 01. |
52 |
한인애국단원 이봉창 의거 |
윤봉길의사. 상해에서 시라가와 대장등 폭살 |
1932. 04. |
|
한인애국단 최홍식, 유상근, 이성원, 이성발을 대련에 파견하고 국제연맹 조사단활동을 계기로 일본 고관을 폭살 시도 |
|
1932. 04. |
|
한인애국단원 윤봉길 상해홍구공원의거 성공 |
|
1032. 05. |
|
윤봉길의사 의거로 임시정부와 함께 절강성 항주로 피란 |
|
1933. 05. |
53 |
국무령 김구와 중국 총통 장개석이 낙양군관학교에 한인특별반을 설치 운영하기로 합의 |
히틀러 독일총통취임 독재정권 수립 |
1934. 01. |
54 |
임시정부 국무위원회의를 남경에서 개최 |
이태리가 이디오피아 침공 |
1934. 09. |
|
한국독립당주관 중국 항주에서 최린 (33인의 1인)성토문 배포(친일분자 응징의 교훈으로) |
|
1935. 02. |
55 |
남경 성내 동관두 23호에 학생훈련소설치를 김구선생과 계획 |
|
1935. 05. |
|
중국 항주에서 한국독립당 임시대회 개최 |
|
1935. 11. |
|
임시정부(항주) 국무위원으로 선출(주석 이동령, 학무장 조완구, 재무장 김구, 군무장 조성환, 법무장 이시영, 내무장 송병조, 외무장 차리석) |
|
1935. 11. |
|
임시정부 가흥으로 이도 |
|
1936. 11. |
56 |
상해인성학교에 일본영사관에서 일본어교육을 지시하자 이에 불복 무기휴학돌입 |
손기정 올림픽마라톤 금메달 |
1937. 03. |
57 |
임시정부 진강으로 이전 |
중 일전쟁 발단 |
1937. 07. |
|
임시정부 군사위원회 설치, 군사위원 임명(유동열. 이청천. 이복원. 현익철. 안공근. 김학규) |
|
1937. 07. |
|
우익진영 한국독립당, 조선혁명당, 한국국민당, 미주의 대한독립당, 동지회, 국민회, 부인회, 애국단과 연합 및 한국광복전선 조직 |
|
1937. 11. |
|
임시정부 진강에서 장사로 이전 |
|
1938. 7. |
58 |
임시정부 장사에서 광동으로 이전 |
|
1938. 10. |
|
임시정부 유주로 이전 |
|
1939. 01. |
59 |
한국광복전선 청년공작대 유주에서 조직하는데 주무 |
2차 세계대전 발단 |
1939. 03. |
|
임시정부 기강으로 이전 |
|
1939. 10. |
|
임시정부 선전위원회규정공포 및 설치 |
|
1939. 11. |
|
임시정부 군사특파원. 조성환. 황학수 등 6명 서안에 파견 |
|
1940. 03. |
60 |
독립운동의 선배 이동령선생 서거 |
창씨 개명을 강제(일본국) |
1940. 05. |
|
조선민족 의용대 조직 |
|
1940. 09. |
|
한국광복군 선언문 공포 |
|
1949. 09. |
|
임시정부광복군을 중경에서 국군으로 개편행사에 한독당대표로 축사 |
|
1949. 09. |
|
임시정부 중경으로 이전(광복시까지 집무) |
|
1940. 10. |
|
임시의정원 정기총회에서 국무위원선임 내무부장 겸임 |
|
1940. 11. |
|
임시정부 임시통제부관제 공포 |
|
1940. 11. |
|
광복군 총사령부 서안으로 이전 |
|
1940.12. |
|
광복군 제1.2.3.지대 구성 임시정부 선전위원회 구성 |
|
1941. 01. |
61 |
서안의 한국청년공작대 광복군 제5지대로 편입 |
태평양전쟁 발발 |
1941. 03. |
|
광복군 제3모병처를 발족 |
|
1941. 06. |
|
임시정부 주미외교위원회 발족 |
|
1941. 06. |
|
중경에서 한중문화협회 발족에 참여 |
|
1941. 08. |
|
임시정부 루즈벨트, 처칠 선언에 대한 성명서 발표 |
|
1941. 10. |
|
중국외교총장과 정부승인 문제등 회담 |
|
1941. 11. |
|
임시정부와 중국정부 한국광복군 9개항 행동준칙 승인 |
|
1941. 11. |
|
임시정부 국무회의 광복군 공약선서 통과 |
|
1941. 11. |
|
임시정부 대한민국 건국강령을 발표, 정치이념과 독립전쟁 준비태세 천명 |
|
1941. 12. |
|
임시정부 광복군활동에 대한 성명발표 |
|
1941. 12. |
|
대한민국임시정부 대일 선전포고 |
|
1941. 12. |
|
중국정부 임시정부에 년6만원식 원조 |
|
1941. 12, |
|
임시정부 대내외 포고문 발표 |
|
1942. 01. |
62 |
임시정부 고국내외동포서 발표 |
일본에 대한 미군공격 강화 |
1942. 02. |
|
광복군징모 제6분처주임 김학규 등 7명. 특파단을 부양에 파견 적후방의 징모, 선전공작을 담당토록 함 |
|
1942. 03. |
|
중국, 미국, 영국, 소련에 대하여 대한민국임시정부 승인을 요구 |
|
1942. 03. |
|
임시정부 국무회의 재미 동포 참권 허가 |
|
1942. 04. |
|
외교위원회를 설치, 신익회 등 4명을 위원으로 임명 |
|
1942. 05. |
|
광복군 부사령관제를 실시 |
|
1942. 05. |
|
김원봉의 조선의용대를 광복군에 편입 제1지대로 조직 |
|
1942. 05. |
|
광복군지대장 이범석, 김학규 임명 |
|
1942. 06. |
|
국무회의 국기통일 양식공포 |
|
1942. 08. |
|
임시의정원 선거규정 공포 |
|
1942. 09. |
|
광복군총사령부 중경으로 다시 이전 |
|
1943. 08. |
63 |
광복군 버어마전선에 파견 |
카이로 선언 |
1943. 08. |
|
임시정부 공군설계위원회조례 공포 |
일제 한국에 징병제시행 |
1944. 04. |
64 |
임시정부개헌안 통과, 국무위원에 재임명, 재무부장 겸임 |
일제 한국에 학병제시행 |
1944. 04. |
|
독립신문을 임정 기관지로 속간 |
미 공군 일본동경을 폭격 |
1944. 10. |
|
임시정부 국무위원회 국내공작위원회 설치 결의 |
|
1945. 01. |
65 |
임시정부 직원복무규정 공포 |
|
1945. 02. |
|
독일에 선전포고 |
세계2차대전 종전 |
1945. 04. |
|
중국과 새 군사협정 체결(독자적 군사행동권을 획득) |
|
1945. 06. |
|
광복군 징모6분처를 제3지대로 확충 개편 |
|
1945. 07. |
|
광복군 국내정진총지휘부 설치 |
|
1945. 08. |
|
김주석과 함께 서안의 광복군훈련 한미합동작전 참전 |
|
1945. 08. 15. |
|
조국광복 |
8.15해방 |
1945. 08. |
|
임시의정원 39회 회의에서 환국을 결의 |
|
1945. 08. |
|
이범석장군 여의도 도착 후 다음날 다시 중국으로 귀환 |
|
1945. 09. |
|
임시정부 당면정책 발표 |
|
1945. 12. |
|
중경출발 상해를 경유 2차로 환국 |
|
1945. 12. 19. |
|
대한민국 임시정부 개선환영대회 |
|
1946. |
66 |
비상국민회의 상임위원회재정위원장최고정무위원에 선출, 민주의원당선, 입법의원(관선의원)지명거부 |
|
1948. 04. |
68 |
남북협상대표-남한우익대표 8인중 주석단의 일원 |
|
1948. 08. ∼1950. 05. |
|
홍익대학 명예학장으로 추대-학장 정열모 |
|
1949. 05. |
69 |
백범 김구 총격서거후 한국독립당 위원장 |
|
1950. 01. 29 |
|
풍양조씨화수회 초대회장 취임 |
|
1950. 05. |
|
대종교 남2 3도 전교겸임 |
|
1950. 09. 18. |
|
6.25동란중 납북 |
|
1989. 03. 1 |
|
건국훈장 대통령장 서훈 |
|
1991. 10. 1 |
|
1954. 10. 27 오후 8시 북한 용성의군 11호 중앙병원 병동에서 74세를 1기로 서거(독립투쟁 50년간) |
남북한 동시 유엔에 가입 |
1991. 10. 27 |
|
선생의 37주기 추모제 거행-대전애국지사숭모회주관 |
|
1991. 11. 21 |
|
정부주최;남북독립유공자 민족지도자 15위추모제전을 서울동작동 국립묘지 현충관에서 거행, 국립묘지 애국지사 묘역 무후선열제단 1단 5호에 위패 봉안 |
|